[앵커]
민주당의 예산 감액안 핵심은 특별활동비죠.
대통령실의 경우 비서실과 국가안보실 특활비는 전액 삭감했는데, 경호처 특활비는 고스란히 살아남았습니다.
처음엔 이른바 ‘입틀막 경호’로 삭감하자고 했었는데, 왜 살려뒀을까요.
이세진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기자]
대통령실 경호처 특활비는 정부 원안에서 삭감되지 않았습니다.
'요인 및 국빈경호활동' 사업에 특활비 82억여 원, 특정업무경비 28억여 원 등이 야당 감액안에 그대로 담겼습니다.
국민의힘은 민주당이 문재인 전 대통령을 의식해 경호처 예산은 그냥 둔 거 아니냐며, 야당 필요에 따라 마음대로 칼질했다고 날을 세웠습니다.
[구자근 / 국민의힘 의원]
"대통령 경호실이 윤석열 대통령만, 이 정부만 있는 게 아니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도 있고 그 너머도 또 있는 겁니다. (삭감 이후를) 고민하게 되니까 이 특활비는 살려준 겁니다."
경호처 예산이 논의된 지난달 20일 국회 운영위 소위 회의록을 보면, 민주당은 처음엔 경호처 특활비 70% 삭감을 요구합니다.
김성훈 경호처 차장이 "요즘 전직 대통령님들이 해외를 많이 가신다"며 특활비를 어디에 쓰는지 설명합니다.
배준영 국민의힘 의원이 "예를 들면 문재인 대통령"이라고 묻자, 김 차장은 "많이 가신다, 다 저희가 한다"고 답합니다.
소위 다음날 민주당은 경호처 특활비를 깎지 않기로 했다고 밝힙니다.
[박성준 / 더불어민주당 의원 (지난달 21일)]
"전직 대통령 또 전직 대통령 부인과 관련된 경호활동, 또 외국의 국빈들이 방문했을 때 경호활동 이것들을 충분히 경호처에서 소명을 하고…."
민주당은 "특활비 사용처에 대해 납득될만한 설명이 있었기에 감액하지 않은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채널A 뉴스 이세진입니다.
영상취재 김재평 이철
영상편집 정다은
민주당의 예산 감액안 핵심은 특별활동비죠.
대통령실의 경우 비서실과 국가안보실 특활비는 전액 삭감했는데, 경호처 특활비는 고스란히 살아남았습니다.
처음엔 이른바 ‘입틀막 경호’로 삭감하자고 했었는데, 왜 살려뒀을까요.
이세진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기자]
대통령실 경호처 특활비는 정부 원안에서 삭감되지 않았습니다.
'요인 및 국빈경호활동' 사업에 특활비 82억여 원, 특정업무경비 28억여 원 등이 야당 감액안에 그대로 담겼습니다.
국민의힘은 민주당이 문재인 전 대통령을 의식해 경호처 예산은 그냥 둔 거 아니냐며, 야당 필요에 따라 마음대로 칼질했다고 날을 세웠습니다.
[구자근 / 국민의힘 의원]
"대통령 경호실이 윤석열 대통령만, 이 정부만 있는 게 아니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도 있고 그 너머도 또 있는 겁니다. (삭감 이후를) 고민하게 되니까 이 특활비는 살려준 겁니다."
경호처 예산이 논의된 지난달 20일 국회 운영위 소위 회의록을 보면, 민주당은 처음엔 경호처 특활비 70% 삭감을 요구합니다.
김성훈 경호처 차장이 "요즘 전직 대통령님들이 해외를 많이 가신다"며 특활비를 어디에 쓰는지 설명합니다.
배준영 국민의힘 의원이 "예를 들면 문재인 대통령"이라고 묻자, 김 차장은 "많이 가신다, 다 저희가 한다"고 답합니다.
소위 다음날 민주당은 경호처 특활비를 깎지 않기로 했다고 밝힙니다.
[박성준 / 더불어민주당 의원 (지난달 21일)]
"전직 대통령 또 전직 대통령 부인과 관련된 경호활동, 또 외국의 국빈들이 방문했을 때 경호활동 이것들을 충분히 경호처에서 소명을 하고…."
민주당은 "특활비 사용처에 대해 납득될만한 설명이 있었기에 감액하지 않은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채널A 뉴스 이세진입니다.
영상취재 김재평 이철
영상편집 정다은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