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성혜란 기자와 여랑야랑 시작합니다. [첫 번째 주제] 보겠습니다. 탄핵 반대 집회 이끈 인물들이네요. 이제 엇갈린 길을 가요?
두 사람 모두 대통령 복귀를 주장해 왔죠.
먼저 전한길 강사, 헌법재판소의 전원일치 파면 결정을 본 순간, 예상 밖의 모습 보였습니다.
[전한길/한국사 강사 (지난달 24일, 채널A 라디오쇼 ‘정치시그널’)]
파면시키는 걸 따르라고? 거기에 저항하는 것이 헌법 정신에 맞는 게 아닙니까?
[전한길/한국사 강사(오늘)]
저는 승복할 것입니다. 다만… 결과에 대한 것은 승복이 맞지만… <결과는 받아들이고 승복합시다.>
내일 예정된 탄핵 반대 집회도 취소했습니다.
이젠 화합해야 한다고요.
Q. 막상 판결이 나오니 승복한 거네요. 그럼 전 강사는 다시 본업으로 돌아가나요?
전한길 강사의 제자, 말과 행동 책임져라, 적당히 하라고 하지 않았냐 원성 자자했는데요.
전 강사, 벌써 조기대선 모드에 들어갔습니다.
[전한길 / 한국사 강사 (오늘)]
이재명 대표가 대통령 되는 것만은 <제 목숨도 걸고> 막을 것입니다.
[전한길/한국사 강사 (오늘)]
보수 우파가 똘똘 뭉쳐서 대통령을 만들어냅시다. 오늘 당장 대통령 선거를 치른다면 보수 우파가 이길 것입니다. <부정 선거만 없다면>.
Q. 또 다른 쌍전, 전광훈 목사는요?
전 강사와 택한 길이 좀 다르던데요.
헌재 재판관들 역사적인 탄핵 받을 거라며 '국민 저항권'을 강조했습니다.
[전광훈 / 사랑제일교회 목사 (오늘)] (유튜브: 전광훈TV Pastor Jun TV)
헌법재판소의 이 판결문은 <사기>입니다. <사기!> <국민 저항권>을 행사하기 위하여 3천만 명이 다 모여야 됩니다!
지지층 자극하기보단 '함께 승복하자' 호소할 때죠.
Q. [다음 주제] 보겠습니다. 전혀 다른 스탠스의 국민의힘 두 의원이네요.
A. 오늘 국민의힘 의원들, 대부분 국회나 헌재에서 선고를 지켜봤죠.
홀로 다른 곳에 있던 한 명, 표정도 다른 여당 의원들과 사뭇 달랐습니다.
[문형배 / 헌법재판소장 대행(오늘)]
재판관 전원의 일치된 의견으로…
[문형배 / 헌법재판소장 대행(오늘)]
파면한다
[현장음]
"김상욱! 김상욱!"
A. 김 의원 혼자 탄핵 찬성 집회에 갔군요.
네, 파면 선고에 기쁨의 눈물을 흘리는 모습도 보였는데요.
국경일로 지정하자는 글도 올렸습니다.
같은 당 조배숙 의원이 기각 바라며 흘린 눈물과는 다른 느낌이죠.
Q. 김 의원 의총도 왔던데, 거기서도 엇갈렸나요.
국민의힘 의원들 의총 내내 침울한 표정이었는데 일찍 나온 김 의원 밝은 표정이죠.
당내에선 불만이 터져 나왔습니다.
[윤상현/국민의힘 의원 (오늘)]
우리 동료들이 대통령 탄핵에 앞장섰습니다. 지금도 저 안에서 같이 못 앉겠다는 사람들 많습니다.
여야뿐 아니라 당내서도 희비 엇갈리는 묘한 상황이죠.
Q. [주제 하나 더] 보겠습니다. 현수막이 다시 금지가 됐다. 오늘 헌재 선고와 관련이 있나요?
A. 맞습니다.
선관위가 불허했다가, 허용했던 현수막이 있는데, 다시 '허용 불가'로 방침을 정했습니다.
이 현수막 기억나시죠?
이제 '조기대선'이 확정된 만큼, 대선 출마가 확실시되는 이 대표를 콕 집어 낙선을 주장하는 현수막을 걸어선 안 된다는 겁니다.
'반역수괴'라고 표현한 현수막도 내려야 한다고요.
Q. 국민의힘을 비판하는 민주당 현수막도 많았는데요?
A. 그것도 이제 안됩니다.
특정 정당 이름과 함께 '내란정당'이라거나 낙선 목적으로 비판한 현수막, 싹 다 내려야 한다는데요.
정리하자면 오늘부터는 선거에 영향 미치기 위해 차기 대선주자 이름이나 소속 정당 명칭, 현수막에 사용해선 안 됩니다.
탄핵 정국 들어 서로 헐뜯는 현수막 유독 거리에 많았죠.
이제 시작된 조기대선은 헐뜯기보다는 '건전한 경쟁' 했으면 좋겠습니다. (건전경쟁)
지금까지 여랑야랑이었습니다.
구성: 성혜란 기자·김민정 작가
연출·편집: 박소윤 PD, 황연진AD
디자이너: 김재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