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 시간당 최저임금이 올해보다 290원(2.9%) 오른 1만320원으로 결정됐습니다.
최저임금위원회는 어제(10일) 제12차 전원회의를 열고 중도 퇴장한 근로자위원 4명을 제외한 23명의 합의로 내년도 최저임금을 시간당 1만320원으로 결정했습니다. 월급으로 환산하면 209시간 기준 215만6880원으로, 올해 기준(209만6270원)보다 6만610원 오르는 겁니다.
2.9%의 인상률은 역대 정부 집권 첫해 인상률 중 최저입니다. 공익위원들이 자영업자나 영세 소상공인의 경제적 위기를 고려했다는 평가입니다. 문재인 정부의 첫해인 2018년 최저임금 인상률은 16.4%였고, 윤석열 정부가 들어선 2023년에는 5.0% 인상됐습니다.
노사 합의로 최저임금 수준을 결정한 건 17년 만입니다. 이인재 최저임금위원회 위원장은 “오늘의 합의는 우리 사회가 사회적 대화를 통해 이견을 조율하고 갈등을 해결하는 저력이 있음을 보여준 성과로 기억될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노사 합의로 최저임금이 결정된 것은 1988년 최저임금제 시행 이후 1989년, 1991년, 1993년, 1995년, 1999년, 2007년, 2008년 등 7차례 뿐인데, 민주노총 소속 근로자위원들이 중도 퇴장하며 반쪽짜리 합의란 지적도 나옵니다.
뉴스1
최저임금위원회는 어제(10일) 제12차 전원회의를 열고 중도 퇴장한 근로자위원 4명을 제외한 23명의 합의로 내년도 최저임금을 시간당 1만320원으로 결정했습니다. 월급으로 환산하면 209시간 기준 215만6880원으로, 올해 기준(209만6270원)보다 6만610원 오르는 겁니다.
2.9%의 인상률은 역대 정부 집권 첫해 인상률 중 최저입니다. 공익위원들이 자영업자나 영세 소상공인의 경제적 위기를 고려했다는 평가입니다. 문재인 정부의 첫해인 2018년 최저임금 인상률은 16.4%였고, 윤석열 정부가 들어선 2023년에는 5.0% 인상됐습니다.
노사 합의로 최저임금 수준을 결정한 건 17년 만입니다. 이인재 최저임금위원회 위원장은 “오늘의 합의는 우리 사회가 사회적 대화를 통해 이견을 조율하고 갈등을 해결하는 저력이 있음을 보여준 성과로 기억될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노사 합의로 최저임금이 결정된 것은 1988년 최저임금제 시행 이후 1989년, 1991년, 1993년, 1995년, 1999년, 2007년, 2008년 등 7차례 뿐인데, 민주노총 소속 근로자위원들이 중도 퇴장하며 반쪽짜리 합의란 지적도 나옵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