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정치부 이남희 선임기자 나왔습니다.
Q. '부동산 정책 5인방' 이름이 요즘 계속 오르내리는데 누구를 말하는 거예요?
이재명 정부 부동산 정책 키를 쥔 5명입니다.
'컨트롤 타워'인 김용범 정책실장과 '세제' 맡은 구윤철 경제부총리, 고강도 대출 규제 내놓은 이억원 금융위원장이 있죠.
공급 대책 짜는 이상경 국토부 1차관과 금융사 담당하는 이찬진 금감원장도 들어가는데요.
서울과 경기 지역의 고가 아파트 사기 어렵게 만든 이번 부동산 대책과 연관있는 사람들이죠.
Q. 5인방, 구체적으로 뭐가 문제에요? 무엇에 분노한다는 거예요?
5인방의 집이 어디 있나 보면 첫번째 분노 포인트 알 수 있습니다.
김용범 실장은 서울 서초동에 구 부총리와 이억원 위원장은 서울 강남구 개포동에 이상경 차관은 경기 분당에 40평대 아파트가 있습니다.
금감원장은 서울 서초구 우면동에 아파트 2채 갖고 있죠.
모두 가격이 수십억원 대예요.
이번 10.15 대책의 고강도 대출규제에 묶여 돈 빌려 집 사기 어려운 곳들이죠.
Q. 서울 강남이나 분당에 집 있는 게 문제라는 거예요?
보통 사람들처럼 월급 모으고 빚도 내 강남에 집 산 것 불법도, 잘못도 아닙니다.
문제는 "자기들은 한강벨트 살면서 국민들 한강다리는 끊었다"는 불만, 터져나온다는 거죠.
이번 대책으로 서울 전역과 경기 일부 지역 전세 끼고 집 사는 갭투자 틀어막았잖아요.
그런데 5인방 중 세 사람, 갭투자로 '똘똘한 1채' 장만했거든요.
이상경 차관 뿐 아니라요.
구윤철 부총리와 이억원 위원장, 2013년 서울 개포동에 재건축 앞둔 같은 아파트를 샀거든요.
당시 8억 원대 가격에 둘다 전세 끼고요.
Q. 지금 가격 따지면 시세 차익이 어마어마하겠어요?
바로 세번째 분노 포인트입니다.
본인들은 갭투자로 좋은 데 집 사놓고 돈까지 많이 벌었는데 남들은 돈 못 벌게 틀어막았단 거죠.
김용범 실장, 2000년 재건축 조합원 입주권을 4억원대 구입했는데 재건축된 이 아파트 지금 약 30억 원대죠.
구 부총리와 이 위원장이 전세 끼고 산 아파트는 무려 40억 원대입니다.
수십억 시세차익이 기대되죠.
이상경 차관도 지난해 전세 끼고 33억대에 산 아파트 요즘 40억 원에 거래되거든요.
Q. 5인방 중 일부가 해명 내놓기도 했는데, 해명이 더 논란이에요?
구윤철 부총리 청문회 때 "부동산, 자산 증식 수단으로 하지 않았다"고 했거든요.
그런데 과거 4채 보유했다가 3채 매도한 전력 있어 앞뒤 안 맞단 비판 나왔죠.
해명이 민심에 더 불지른 건 이찬진 금감원장입니다.
"두 채 중 한 채는 정리한다"고 해서 야당이 "처분하냐" 캐물었더니 "자녀에게 양도한다"고 답한 겁니다.
당장 온라인에선 "현금 부자는 걱정 없다" "나는 자식에 강남 집 줄 테니 남들은 딴 곳 살란 거냐"는 비판이 터져나왔습니다.
Q. 5인방도 고민이 깊을 것 같습니다.
이들 입장에선 불법을 저지른 것도 아닌데 억울할 수도 있겠죠.
대부분의 사람들, 차곡차곡 월급 모아 좋은 곳에 집 사고 돈도 버는 게 꿈이잖아요.
이 5인방 대부분도 공무원 출신으로 월급 모아서, 전세도 끼고, 빚도 내서 남들 선망하는 지역에 고가 아파트 마련했고요.
자신들은 그런 꿈을 이뤘으면서 남들은 못하게 막은 데서 논란이 출발한 거겠죠.
이 분노, 달래는 게 가장 큰 숙제일 겁니다.
지금까지 이남희 정치부 선임기자였습니다.
정치부 이남희 선임기자 나왔습니다.
Q. '부동산 정책 5인방' 이름이 요즘 계속 오르내리는데 누구를 말하는 거예요?
이재명 정부 부동산 정책 키를 쥔 5명입니다.
'컨트롤 타워'인 김용범 정책실장과 '세제' 맡은 구윤철 경제부총리, 고강도 대출 규제 내놓은 이억원 금융위원장이 있죠.
공급 대책 짜는 이상경 국토부 1차관과 금융사 담당하는 이찬진 금감원장도 들어가는데요.
서울과 경기 지역의 고가 아파트 사기 어렵게 만든 이번 부동산 대책과 연관있는 사람들이죠.
Q. 5인방, 구체적으로 뭐가 문제에요? 무엇에 분노한다는 거예요?
5인방의 집이 어디 있나 보면 첫번째 분노 포인트 알 수 있습니다.
김용범 실장은 서울 서초동에 구 부총리와 이억원 위원장은 서울 강남구 개포동에 이상경 차관은 경기 분당에 40평대 아파트가 있습니다.
금감원장은 서울 서초구 우면동에 아파트 2채 갖고 있죠.
모두 가격이 수십억원 대예요.
이번 10.15 대책의 고강도 대출규제에 묶여 돈 빌려 집 사기 어려운 곳들이죠.
Q. 서울 강남이나 분당에 집 있는 게 문제라는 거예요?
보통 사람들처럼 월급 모으고 빚도 내 강남에 집 산 것 불법도, 잘못도 아닙니다.
문제는 "자기들은 한강벨트 살면서 국민들 한강다리는 끊었다"는 불만, 터져나온다는 거죠.
이번 대책으로 서울 전역과 경기 일부 지역 전세 끼고 집 사는 갭투자 틀어막았잖아요.
그런데 5인방 중 세 사람, 갭투자로 '똘똘한 1채' 장만했거든요.
이상경 차관 뿐 아니라요.
구윤철 부총리와 이억원 위원장, 2013년 서울 개포동에 재건축 앞둔 같은 아파트를 샀거든요.
당시 8억 원대 가격에 둘다 전세 끼고요.
Q. 지금 가격 따지면 시세 차익이 어마어마하겠어요?
바로 세번째 분노 포인트입니다.
본인들은 갭투자로 좋은 데 집 사놓고 돈까지 많이 벌었는데 남들은 돈 못 벌게 틀어막았단 거죠.
김용범 실장, 2000년 재건축 조합원 입주권을 4억원대 구입했는데 재건축된 이 아파트 지금 약 30억 원대죠.
구 부총리와 이 위원장이 전세 끼고 산 아파트는 무려 40억 원대입니다.
수십억 시세차익이 기대되죠.
이상경 차관도 지난해 전세 끼고 33억대에 산 아파트 요즘 40억 원에 거래되거든요.
Q. 5인방 중 일부가 해명 내놓기도 했는데, 해명이 더 논란이에요?
구윤철 부총리 청문회 때 "부동산, 자산 증식 수단으로 하지 않았다"고 했거든요.
그런데 과거 4채 보유했다가 3채 매도한 전력 있어 앞뒤 안 맞단 비판 나왔죠.
해명이 민심에 더 불지른 건 이찬진 금감원장입니다.
"두 채 중 한 채는 정리한다"고 해서 야당이 "처분하냐" 캐물었더니 "자녀에게 양도한다"고 답한 겁니다.
당장 온라인에선 "현금 부자는 걱정 없다" "나는 자식에 강남 집 줄 테니 남들은 딴 곳 살란 거냐"는 비판이 터져나왔습니다.
Q. 5인방도 고민이 깊을 것 같습니다.
이들 입장에선 불법을 저지른 것도 아닌데 억울할 수도 있겠죠.
대부분의 사람들, 차곡차곡 월급 모아 좋은 곳에 집 사고 돈도 버는 게 꿈이잖아요.
이 5인방 대부분도 공무원 출신으로 월급 모아서, 전세도 끼고, 빚도 내서 남들 선망하는 지역에 고가 아파트 마련했고요.
자신들은 그런 꿈을 이뤘으면서 남들은 못하게 막은 데서 논란이 출발한 거겠죠.
이 분노, 달래는 게 가장 큰 숙제일 겁니다.
지금까지 이남희 정치부 선임기자였습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