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극한 폭우의 후유증이 시작됐습니다.
바다와 댐 주변이 떠내려 온 각종 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는데요.
치워도 치워도 끝이 없는 현장 공국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바다 한가운데 거대한 쓰레기섬이 생겼습니다.
이번 폭우로 영산강에서 떠내려온 것들입니다.
부러진 나뭇가지에, 깨진 수박, 큼지막한 타이어까지 없는 게 없습니다.
배들은 쓰레기를 헤치고 겨우 지나갑니다.
해안가엔 영산강에서 떠밀려온 쓰레기로 가득한데요.
쓰레기를 담은 포대자루가 산더미처럼 쌓여 있습니다.
쓰레기는 목포에서 6km 가량 떨어진 섬까지 덮쳤습니다.
지금껏 치운 쓰레기만 2백 톤이 넘지만 여전히 끝이 안 보입니다.
도로변에 쌓아놓은 쓰레기는 더운 날씨에 썩어가며 악취를 풍깁니다.
[박영연 / 목포바다 지킴이]
"하루에 10톤, 10차 이상을 끌어내도 위치가 그대로입니다. 한 20일 정도 일을 해야 끝이 나지 않을까 싶습니다."
수도권 식수원인 팔당댐도 거대한 쓰레기장이 됐습니다.
남한강과 북한강 상류에서 쓰레기가 밀려온 겁니다.
일대를 가득 메운 쓰레기 위로 새들이 돌아다닙니다.
[경기도수자원본부 관계자]
"1천 톤 정도로 예측을 하고 있긴 하거든요. (치우는데) 일주일 훨씬 넘을 것 같고요."
경남 사천 앞바다에도 강을 타고 내려온 쓰레기가 떠다닙니다.
쓰레기는 이웃한 남해와 하동군까지 퍼졌습니다.
조업에 나서야 할 어민들도, 양식장도 모두 손을 놓았습니다.
[박경미 / 경남 사천시 ]
"쓰레기가 섬 덩어리처럼 밀려왔어요. 모든 바다가 다 엉망입니다. 어민들도 배 못 나가잖아요. 쓰레기가 배에 감겨버리니까."
비는 그쳤지만 주민들의 고통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채널A 뉴스 공국진입니다.
영상취재 : 김민석 이기현 김덕룡
영상편집 : 이혜진
극한 폭우의 후유증이 시작됐습니다.
바다와 댐 주변이 떠내려 온 각종 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는데요.
치워도 치워도 끝이 없는 현장 공국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바다 한가운데 거대한 쓰레기섬이 생겼습니다.
이번 폭우로 영산강에서 떠내려온 것들입니다.
부러진 나뭇가지에, 깨진 수박, 큼지막한 타이어까지 없는 게 없습니다.
배들은 쓰레기를 헤치고 겨우 지나갑니다.
해안가엔 영산강에서 떠밀려온 쓰레기로 가득한데요.
쓰레기를 담은 포대자루가 산더미처럼 쌓여 있습니다.
쓰레기는 목포에서 6km 가량 떨어진 섬까지 덮쳤습니다.
지금껏 치운 쓰레기만 2백 톤이 넘지만 여전히 끝이 안 보입니다.
도로변에 쌓아놓은 쓰레기는 더운 날씨에 썩어가며 악취를 풍깁니다.
[박영연 / 목포바다 지킴이]
"하루에 10톤, 10차 이상을 끌어내도 위치가 그대로입니다. 한 20일 정도 일을 해야 끝이 나지 않을까 싶습니다."
수도권 식수원인 팔당댐도 거대한 쓰레기장이 됐습니다.
남한강과 북한강 상류에서 쓰레기가 밀려온 겁니다.
일대를 가득 메운 쓰레기 위로 새들이 돌아다닙니다.
[경기도수자원본부 관계자]
"1천 톤 정도로 예측을 하고 있긴 하거든요. (치우는데) 일주일 훨씬 넘을 것 같고요."
경남 사천 앞바다에도 강을 타고 내려온 쓰레기가 떠다닙니다.
쓰레기는 이웃한 남해와 하동군까지 퍼졌습니다.
조업에 나서야 할 어민들도, 양식장도 모두 손을 놓았습니다.
[박경미 / 경남 사천시 ]
"쓰레기가 섬 덩어리처럼 밀려왔어요. 모든 바다가 다 엉망입니다. 어민들도 배 못 나가잖아요. 쓰레기가 배에 감겨버리니까."
비는 그쳤지만 주민들의 고통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채널A 뉴스 공국진입니다.
영상취재 : 김민석 이기현 김덕룡
영상편집 : 이혜진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