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국가 전산망 마비를 일으킨, 대전 국정자원 화재, 인재일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배터리가 80% 충전된 상태에서 분리작업이 이뤄진 걸로 조사됐습니다.
규정대로면 30% 이하까지 방전한 뒤 작업해야 합니다.
김대욱 기자입니다.
[기자]
국회 현안질의에 참석한 이재용 국가정보자원관리원장.
화재 원인과 관련해 배터리 분리 과정에서 과실이 있었을 수 있다고 인정했습니다.
배터리 업계의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배터리를 분리할 때 충전 용량을 30% 이하로 낮춰 작업하도록 규정돼 있습니다.
하지만 당시 작업에선 이 기준을 지키지 않았다는 겁니다.
[이재용 / 국가정보자원관리원장]
(충전상태 30%) 그 이상이었습니다. 직원들하고 다시 면담하면서 여기 주신 얘기 중에서 배터리 SOC(충전상태)는 80% 정도 됐었다고 하긴 했었고요."
실제로 배터리 충전 용량이 높은 상태에서 분리를 할 경우 화재 위험이 한층 커진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공하성 / 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내부에 저장된 에너지가 많아지기 때문에 충격을 받는다든지 분리막이 손상돼서 합선이 일어난다든지 하면 전류가 최대로 오르면서 열은 과도하게 많이 발생합니다"
이런 가운데 경찰 전담수사팀은 국정자원과 공사업체 등을 압수수색했습니다.
확보한 증거물을 토대로 원인 규명에 수사력을 모으고 있습니다.
채널A뉴스 김대욱입니다.
영상취재 : 박영래
영상편집 : 정다은
국가 전산망 마비를 일으킨, 대전 국정자원 화재, 인재일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배터리가 80% 충전된 상태에서 분리작업이 이뤄진 걸로 조사됐습니다.
규정대로면 30% 이하까지 방전한 뒤 작업해야 합니다.
김대욱 기자입니다.
[기자]
국회 현안질의에 참석한 이재용 국가정보자원관리원장.
화재 원인과 관련해 배터리 분리 과정에서 과실이 있었을 수 있다고 인정했습니다.
배터리 업계의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배터리를 분리할 때 충전 용량을 30% 이하로 낮춰 작업하도록 규정돼 있습니다.
하지만 당시 작업에선 이 기준을 지키지 않았다는 겁니다.
[이재용 / 국가정보자원관리원장]
(충전상태 30%) 그 이상이었습니다. 직원들하고 다시 면담하면서 여기 주신 얘기 중에서 배터리 SOC(충전상태)는 80% 정도 됐었다고 하긴 했었고요."
실제로 배터리 충전 용량이 높은 상태에서 분리를 할 경우 화재 위험이 한층 커진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공하성 / 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내부에 저장된 에너지가 많아지기 때문에 충격을 받는다든지 분리막이 손상돼서 합선이 일어난다든지 하면 전류가 최대로 오르면서 열은 과도하게 많이 발생합니다"
이런 가운데 경찰 전담수사팀은 국정자원과 공사업체 등을 압수수색했습니다.
확보한 증거물을 토대로 원인 규명에 수사력을 모으고 있습니다.
채널A뉴스 김대욱입니다.
영상취재 : 박영래
영상편집 : 정다은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