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오늘부터 채널A는 우리 사회 곳곳의 민낯과 허점을 파고드는 심층취재 '추적'을 시작합니다.
얼마 전, 산후조리원에서 결핵 집단 감염이 발생했다는 사실, 보도해드렸습니다.
그런데 뒤늦게 감염된 신생아들 일부가 명단에서 누락됐던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책임 지는 곳은 어디에도 없었습니다.
배준석 기자가 추적했습니다.
[기자]
엄마는 오늘도 새벽 6시에 맞춰 4개월 된 딸에게 약을 먹입니다.
아이가 앞으로 1년 가까이 이 약을 먹게 된 건 산후조리원에서 결핵에 감염됐기 때문입니다.
[채널A 보도 영상 (지난 6월)]
"서울의 한 산후조리원에서 신생아들이 집단으로 결핵 보균 양성 판정을 받았습니다."
감염 사실보다 엄마를 더 화나게 한 일이 있습니다.
[신생아 부모]
"그 뉴스를 제가 6월 21일에 봤어요. 우리 아기도 밀접접촉자인 것 같은데 확인 좀 해달라 그러니까 이제 조리원 과장한테 전화가 왔어요. 누락된 거다 이렇게"
결핵에 걸린 조리원 간호사와 신생아들의 밀접 접촉이 확인된 건 지난 4월.
신생아 56명을 특정했고, 이 가운데 10명이 결핵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그런데 또 다른 밀접접촉자 6명이 있다는 사실이 두 달 뒤 부모의 문의 과정에서 드러난 겁니다.
6명 중 2명은 결핵에 확진됐습니다.
[누락된 신생아 부모]
"어떻게 우리가 뉴스를 보고 그거를 질의를 해서 우리가 알아야 돼요? "
[산후조리원 관계자]
"(접촉자 명단 정리를) 수기로 하다가 우리가 거기서 실수를 한 것 같아요. 누락시킨 부분에 대해서는 너무너무 죄송하고"
[보건소 관계자]
"속도전이 필요하다고 생각해서…저희도 이번에 많이 배웠어요."
조리원은 단순 실수라는 입장입니다.
[산후조리원 관계자]
"예전에 제시했던 금액에다가 더 많이 반 정도 더 보태가지고… 3백에다가 거의 150만 원 더 나간다고 보면 돼요."
보건소는 조리원에서 제출하는 자료만 믿었다고 합니다.
[보건소 관계자]
"<누락에 관한 게 매뉴얼화가 안돼 있는건 맞는거네요?> 저희는 믿고 방역 검사를 시킨 거죠. 여기 지침에도 시설에서 명단을 주지 너네 보건소 가서 크로스체크해 이런 건 없단 말이죠."
질병관리청은 앞으로 결핵관리지침을 보완해 감염기관 제출 자료를 확인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질병관리청 관계자]
"부서랑 협의해가지고 제 이런 상황이 발생했을 때 조금 더 명단을 좀 빨리 누락되지 않고 뭐 확인할 수 있는 방법들을…"
누락된 신생아 부모들이 원하는 건, 조리원의 공개적인 사과입니다.
"자기 자식이 아픈데 그걸 뭐 돈으로 흥정하고 그러고 싶겠어요? 다른 부모님들이 저처럼 이런 일로 슬퍼하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심층 취재 '추적' 배준석입니다.
PD: 장동하
AD: 송시원
오늘부터 채널A는 우리 사회 곳곳의 민낯과 허점을 파고드는 심층취재 '추적'을 시작합니다.
얼마 전, 산후조리원에서 결핵 집단 감염이 발생했다는 사실, 보도해드렸습니다.
그런데 뒤늦게 감염된 신생아들 일부가 명단에서 누락됐던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책임 지는 곳은 어디에도 없었습니다.
배준석 기자가 추적했습니다.
[기자]
엄마는 오늘도 새벽 6시에 맞춰 4개월 된 딸에게 약을 먹입니다.
아이가 앞으로 1년 가까이 이 약을 먹게 된 건 산후조리원에서 결핵에 감염됐기 때문입니다.
[채널A 보도 영상 (지난 6월)]
"서울의 한 산후조리원에서 신생아들이 집단으로 결핵 보균 양성 판정을 받았습니다."
감염 사실보다 엄마를 더 화나게 한 일이 있습니다.
[신생아 부모]
"그 뉴스를 제가 6월 21일에 봤어요. 우리 아기도 밀접접촉자인 것 같은데 확인 좀 해달라 그러니까 이제 조리원 과장한테 전화가 왔어요. 누락된 거다 이렇게"
결핵에 걸린 조리원 간호사와 신생아들의 밀접 접촉이 확인된 건 지난 4월.
신생아 56명을 특정했고, 이 가운데 10명이 결핵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그런데 또 다른 밀접접촉자 6명이 있다는 사실이 두 달 뒤 부모의 문의 과정에서 드러난 겁니다.
6명 중 2명은 결핵에 확진됐습니다.
[누락된 신생아 부모]
"어떻게 우리가 뉴스를 보고 그거를 질의를 해서 우리가 알아야 돼요? "
[산후조리원 관계자]
"(접촉자 명단 정리를) 수기로 하다가 우리가 거기서 실수를 한 것 같아요. 누락시킨 부분에 대해서는 너무너무 죄송하고"
[보건소 관계자]
"속도전이 필요하다고 생각해서…저희도 이번에 많이 배웠어요."
조리원은 단순 실수라는 입장입니다.
[산후조리원 관계자]
"예전에 제시했던 금액에다가 더 많이 반 정도 더 보태가지고… 3백에다가 거의 150만 원 더 나간다고 보면 돼요."
보건소는 조리원에서 제출하는 자료만 믿었다고 합니다.
[보건소 관계자]
"<누락에 관한 게 매뉴얼화가 안돼 있는건 맞는거네요?> 저희는 믿고 방역 검사를 시킨 거죠. 여기 지침에도 시설에서 명단을 주지 너네 보건소 가서 크로스체크해 이런 건 없단 말이죠."
질병관리청은 앞으로 결핵관리지침을 보완해 감염기관 제출 자료를 확인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질병관리청 관계자]
"부서랑 협의해가지고 제 이런 상황이 발생했을 때 조금 더 명단을 좀 빨리 누락되지 않고 뭐 확인할 수 있는 방법들을…"
누락된 신생아 부모들이 원하는 건, 조리원의 공개적인 사과입니다.
"자기 자식이 아픈데 그걸 뭐 돈으로 흥정하고 그러고 싶겠어요? 다른 부모님들이 저처럼 이런 일로 슬퍼하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심층 취재 '추적' 배준석입니다.
PD: 장동하
AD: 송시원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