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길어진 폭염에 바다 수온이 뜨거워지면서 어민들이 애써 키운 물고기를 방류하고 있다는 소식 전해드렸었는데요.
이런 피해를 줄이기 위해 양식장을 바다 속 더 깊은 곳으로 옮기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배유미 기자입니다.
[기자]
바닷속 커다란 그물망 안으로 강도다리 수천 마리가 쏟아지듯 들어갑니다.
바다 위 배에서 그물통로를 통해 수심 50미터 아래로 내려보내는 겁니다.
[임후순 / 경북도 어업기술원 어업기술지원과장]
"고수온기가 넘어가는 동안에 (깊은 바다에) 넣어가지고 그 기간을 견디는 그런 실험을 하나 하고 있고요. "
폭염이 극심한 7~8월 두 달간 깊은 바닷속에 양식장을 만들어 한류성 어종인 강도다리를 키우겠다는 겁니다.
고수온 해수면에서 냉수대가 형성된 바다 아래로 피신해 양식장 물고기 폐사를 막는 겁니다.
먹이를 언제까지 주지 않아도 되는지 현재 시험 중입니다.
기후 변화로 한반도 바다 온도가 빠르게 상승하면서 한여름 양식장 피해는 반복되고 있습니다.
[김영곤 / 양식장 어민(지난달)]
"지금 한 25도 여야하는데 28.5도까지 올라갔습니다. 예년에 비해서 수온이 15일 정도 더 빨리 올라가고 있습니다."
지난해 폭염으로 전국 양식장은 역대 최대 규모인 1430억 원의 피해를 봤습니다.
올해도 바다 온도가 30도까지 빠르게 치솟으면서 전남 해역 양식장에서만 이미 7만 마리 넘게 폐사했습니다.
계속되는 폭염에 바다 양식장도 생존법을 찾고 있습니다.
채널A뉴스 배유미입니다.
영상취재 : 이기현
영상편집 : 박혜린
길어진 폭염에 바다 수온이 뜨거워지면서 어민들이 애써 키운 물고기를 방류하고 있다는 소식 전해드렸었는데요.
이런 피해를 줄이기 위해 양식장을 바다 속 더 깊은 곳으로 옮기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배유미 기자입니다.
[기자]
바닷속 커다란 그물망 안으로 강도다리 수천 마리가 쏟아지듯 들어갑니다.
바다 위 배에서 그물통로를 통해 수심 50미터 아래로 내려보내는 겁니다.
[임후순 / 경북도 어업기술원 어업기술지원과장]
"고수온기가 넘어가는 동안에 (깊은 바다에) 넣어가지고 그 기간을 견디는 그런 실험을 하나 하고 있고요. "
폭염이 극심한 7~8월 두 달간 깊은 바닷속에 양식장을 만들어 한류성 어종인 강도다리를 키우겠다는 겁니다.
고수온 해수면에서 냉수대가 형성된 바다 아래로 피신해 양식장 물고기 폐사를 막는 겁니다.
먹이를 언제까지 주지 않아도 되는지 현재 시험 중입니다.
기후 변화로 한반도 바다 온도가 빠르게 상승하면서 한여름 양식장 피해는 반복되고 있습니다.
[김영곤 / 양식장 어민(지난달)]
"지금 한 25도 여야하는데 28.5도까지 올라갔습니다. 예년에 비해서 수온이 15일 정도 더 빨리 올라가고 있습니다."
지난해 폭염으로 전국 양식장은 역대 최대 규모인 1430억 원의 피해를 봤습니다.
올해도 바다 온도가 30도까지 빠르게 치솟으면서 전남 해역 양식장에서만 이미 7만 마리 넘게 폐사했습니다.
계속되는 폭염에 바다 양식장도 생존법을 찾고 있습니다.
채널A뉴스 배유미입니다.
영상취재 : 이기현
영상편집 : 박혜린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