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이 한미정상회담을 앞두고 주한미군 감축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숫자가 아니라 능력이 중요하다"는 건데요.
미국이 이번 관세협상 당시 우리나라 국방비 증액을 요구하려던 정황도 포착됐습니다.
이현재 기자입니다.
[기자]
제이비어 브런슨 주한미군사령관이 최근 국내 언론과 간담회를 갖고 주한미군 병력 감축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제이비어 브런슨 / 주한미군사령관]
"주한미군에는 변화가 필요합니다. 숫자가 아닌 능력에 대한 것입니다."
5세대 전투기 등 최신 무기와 특수 전투부대 등을 배치해 전력의 질을 높이면 현재 2만8500명인 주한미군이 감축돼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겁니다.
그러면서 "한국과 미국이 처한 상황은 75년 전과 다르다"며 "대한민국에 요구되는 것은 북한 상대 뿐 아니라 <<다른 일>>도 할 수 있게 유연성을 발휘하는 <<동맹의 현대화>>"라고 말했습니다.
중국 견제나 대만 방어를 위해 주한미군이 재배치 돼야 한다는 뜻으로 해석 됩니다.
[제이비어 브런슨 / 주한미군사령관]
"전력을 한 곳에 묶어두면 효율적이지 않습니다. 다른 임무도 수행할 수 있으면 문제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이 같은 발언에 대해 일각에서는 25일 쯤 열리는 한미정상회담에서 병력 감축과 역할 재조정이 포함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미국이 한미 관세협상 당시 이와 유사한 내용을 요구하려 했다는 보도도 나왔습니다.
미국 일간지 워싱턴 포스트가 입수한 미국 정부 내부 문서에 따르면 미국은 한국의 국방비 지출을 현재보다 약 50% 높은 3.8%로 늘리고, 주한미군 분담금 인상도 요구하려 했습니다.
또 주한미군 재배치를 지지하는 정치 성명 발표도 요구하려 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다만, 이는 '초안' 내용으로, 우리 정부는 관세 협상 과정에서 방위비 문제 등 안보 현안이 논의되지 않았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채널A 뉴스 이현재입니다.
영상편집 : 이혜진
미국이 한미정상회담을 앞두고 주한미군 감축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숫자가 아니라 능력이 중요하다"는 건데요.
미국이 이번 관세협상 당시 우리나라 국방비 증액을 요구하려던 정황도 포착됐습니다.
이현재 기자입니다.
[기자]
제이비어 브런슨 주한미군사령관이 최근 국내 언론과 간담회를 갖고 주한미군 병력 감축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제이비어 브런슨 / 주한미군사령관]
"주한미군에는 변화가 필요합니다. 숫자가 아닌 능력에 대한 것입니다."
5세대 전투기 등 최신 무기와 특수 전투부대 등을 배치해 전력의 질을 높이면 현재 2만8500명인 주한미군이 감축돼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겁니다.
그러면서 "한국과 미국이 처한 상황은 75년 전과 다르다"며 "대한민국에 요구되는 것은 북한 상대 뿐 아니라 <<다른 일>>도 할 수 있게 유연성을 발휘하는 <<동맹의 현대화>>"라고 말했습니다.
중국 견제나 대만 방어를 위해 주한미군이 재배치 돼야 한다는 뜻으로 해석 됩니다.
[제이비어 브런슨 / 주한미군사령관]
"전력을 한 곳에 묶어두면 효율적이지 않습니다. 다른 임무도 수행할 수 있으면 문제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이 같은 발언에 대해 일각에서는 25일 쯤 열리는 한미정상회담에서 병력 감축과 역할 재조정이 포함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미국이 한미 관세협상 당시 이와 유사한 내용을 요구하려 했다는 보도도 나왔습니다.
미국 일간지 워싱턴 포스트가 입수한 미국 정부 내부 문서에 따르면 미국은 한국의 국방비 지출을 현재보다 약 50% 높은 3.8%로 늘리고, 주한미군 분담금 인상도 요구하려 했습니다.
또 주한미군 재배치를 지지하는 정치 성명 발표도 요구하려 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다만, 이는 '초안' 내용으로, 우리 정부는 관세 협상 과정에서 방위비 문제 등 안보 현안이 논의되지 않았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채널A 뉴스 이현재입니다.
영상편집 : 이혜진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