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중국 베이징에 있는 북한 대사관은 김정은 위원장을 맞이할 채비에 착수한 모습입니다.
채널A가 가보니, 리모델링 공사를 하는 모습이 포착됐는데요, 건물 중앙에 황금빛 국가 휘장을 내걸었습니다.
또 달라진 현장 모습, 김정근 기자가 보여드립니다.
[기자]
베이징 외교가에 자리 잡은 주중 북한대사관입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도착을 앞두고 경비가 삼엄합니다.
사복과 제복을 입은 경찰관이 곳곳에 경비를 서고 있고, CCTV를 점검하는 모습도 보입니다.
대사관 담벼락 안쪽에는 보수 공사가 진행중인 듯 가림막도 쳐져 있습니다.
그런데 건물 중앙 옥상에 새로 만든 듯한 금색 휘장이 반짝이는 모습이 보입니다.
북한의 국가상징인 이른바 국가 휘장인데, 과거에는 구릿빛 동판이었던 국장을 이번에 새로 교체한 겁니다.
위치도 이전엔 건물 외벽에 붙여 놓았는데 새 휘장을 위한 별도 장식공간을 만든 것이 확인됩니다.
김 위원장 집권 이후 북한은 국가 휘장을 선대에 비해 자주 사용하고 있습니다.
2018년 5월 2차 방중때도 국가 휘장이 박힌 전용기를 타고 중국에 도착했습니다.
[북한 조선중앙TV(2018년)]
"현지시간으로 낮 12시, 경애하는 최고영도자 동지께서 타신 전용기가 대련 국제비행장에 착륙했습니다."
김 위원장은 내일 베이징에 도착한 뒤 중국 정부의 공식 영빈관인 댜오위타이, 일명 조어대에 묵을 것으로 보입니다.
채널A 뉴스 김정근입니다.
영상편집 : 방성재
중국 베이징에 있는 북한 대사관은 김정은 위원장을 맞이할 채비에 착수한 모습입니다.
채널A가 가보니, 리모델링 공사를 하는 모습이 포착됐는데요, 건물 중앙에 황금빛 국가 휘장을 내걸었습니다.
또 달라진 현장 모습, 김정근 기자가 보여드립니다.
[기자]
베이징 외교가에 자리 잡은 주중 북한대사관입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도착을 앞두고 경비가 삼엄합니다.
사복과 제복을 입은 경찰관이 곳곳에 경비를 서고 있고, CCTV를 점검하는 모습도 보입니다.
대사관 담벼락 안쪽에는 보수 공사가 진행중인 듯 가림막도 쳐져 있습니다.
그런데 건물 중앙 옥상에 새로 만든 듯한 금색 휘장이 반짝이는 모습이 보입니다.
북한의 국가상징인 이른바 국가 휘장인데, 과거에는 구릿빛 동판이었던 국장을 이번에 새로 교체한 겁니다.
위치도 이전엔 건물 외벽에 붙여 놓았는데 새 휘장을 위한 별도 장식공간을 만든 것이 확인됩니다.
김 위원장 집권 이후 북한은 국가 휘장을 선대에 비해 자주 사용하고 있습니다.
2018년 5월 2차 방중때도 국가 휘장이 박힌 전용기를 타고 중국에 도착했습니다.
[북한 조선중앙TV(2018년)]
"현지시간으로 낮 12시, 경애하는 최고영도자 동지께서 타신 전용기가 대련 국제비행장에 착륙했습니다."
김 위원장은 내일 베이징에 도착한 뒤 중국 정부의 공식 영빈관인 댜오위타이, 일명 조어대에 묵을 것으로 보입니다.
채널A 뉴스 김정근입니다.
영상편집 : 방성재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