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대북 확성기 방송에 이어 대북 라디오 방송 '자유의 소리'가 오늘부터 중단됐습니다.
대북 심리전 차원에서, 북한 실상 알리고, 우리 K팝 틀고 했었는데요.
2010년 천안함 피격 이후 재개된 지 15년 만에 중단입니다.
박선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자유의 소리 / (지난해 7월 방송)]
"북한에서도 사랑의 불시착이라는 연속극을 안 본 사람은 있어도 한번만 본 사람은 없을 정도라는 말도 있죠."
우리 군이 대북심리전 차원에서 전파로 송출해온 '자유의 소리' 라디오 방송이 오늘부로 중단됐습니다.
자유의 소리 방송은 어제 저녁까지 진행된 후 오늘 새벽부터 송출을 멈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경호 / 국방부 공보과장]
"국방부는 남북 간 군사적 긴장 완화를 위한 조치의 일환으로 자유의 소리 방송을 중단하였습니다."
그간 자유의 소리는 주로 북한 정권 관련 동향과 자유민주주의 체제의 우월성을 담은 내용을 비롯해 남한의 대중 문화 소식 등을 송출해 왔습니다.
['오랜 날 오랜 밤' - 악뮤]
"별 하나 있고 너 하나 있는"
['아버지' - 인순이]
"시간이 필요해요"
지난 2010년 5월 천안함 피격 사건을 계기로 재개된 자유의 소리는 15년 넘게 유지돼 왔고, 대북 확성기로 내보낸 방송도 바로 이 자유의 소리였습니다.
앞서 군은 이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지난 6월 대북 확성기 방송을 중단하고 지난달에는 대북확성기도 철거했는데, 이번엔 전파 방송까지 중단한 겁니다.
군 관계자는 "국군심리전단은 이제 전시 대비체제로 운용될 것"이라며 "방송 더빙 등 외부와의 계약은 더 연장하지 않을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
채널A 뉴스 박선영입니다.
영상취재: 이호영
영상편집: 허민영
대북 확성기 방송에 이어 대북 라디오 방송 '자유의 소리'가 오늘부터 중단됐습니다.
대북 심리전 차원에서, 북한 실상 알리고, 우리 K팝 틀고 했었는데요.
2010년 천안함 피격 이후 재개된 지 15년 만에 중단입니다.
박선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자유의 소리 / (지난해 7월 방송)]
"북한에서도 사랑의 불시착이라는 연속극을 안 본 사람은 있어도 한번만 본 사람은 없을 정도라는 말도 있죠."
우리 군이 대북심리전 차원에서 전파로 송출해온 '자유의 소리' 라디오 방송이 오늘부로 중단됐습니다.
자유의 소리 방송은 어제 저녁까지 진행된 후 오늘 새벽부터 송출을 멈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경호 / 국방부 공보과장]
"국방부는 남북 간 군사적 긴장 완화를 위한 조치의 일환으로 자유의 소리 방송을 중단하였습니다."
그간 자유의 소리는 주로 북한 정권 관련 동향과 자유민주주의 체제의 우월성을 담은 내용을 비롯해 남한의 대중 문화 소식 등을 송출해 왔습니다.
['오랜 날 오랜 밤' - 악뮤]
"별 하나 있고 너 하나 있는"
['아버지' - 인순이]
"시간이 필요해요"
지난 2010년 5월 천안함 피격 사건을 계기로 재개된 자유의 소리는 15년 넘게 유지돼 왔고, 대북 확성기로 내보낸 방송도 바로 이 자유의 소리였습니다.
앞서 군은 이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지난 6월 대북 확성기 방송을 중단하고 지난달에는 대북확성기도 철거했는데, 이번엔 전파 방송까지 중단한 겁니다.
군 관계자는 "국군심리전단은 이제 전시 대비체제로 운용될 것"이라며 "방송 더빙 등 외부와의 계약은 더 연장하지 않을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
채널A 뉴스 박선영입니다.
영상취재: 이호영
영상편집: 허민영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