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한국 국가경쟁력 28→20위 ‘역대 최고’…기업이 끌었다
2024-06-18 14:44 경제

 IMD가 발표한 국가경쟁력 중 한국 순위변화 추이(자료제공=기획재정부)

한국이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 국가경쟁력 평가에서 67개국 중 20위를 차지해 역대 최고 순위를 기록했습니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IMD는 이런 내용의 '2024년 국가경쟁력 평가 결과'를 오늘(18일) 발표했습니다.

IMD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과 신흥국 등을 대상으로 기업 경영 환경에 대한 역량을 조사해 매년 6월 세계경쟁력연감을 발표합니다. 올해 평가 결과는 2022년과 2023년 통계를 기초로 했습니다.

우리나라의 국가경쟁력 순위는 올해 20위로 집계돼 2023년(28위)보다 8계단 올랐습니다. 1997년 평가 대상에 포함된 이래 최고 순위입니다.

작년에 4위였던 싱가포르가 1위를 차지한 데 이어 스위스, 덴마크, 아일랜드, 홍콩이 상위 5개국이었습니다. 대만 8위, 미국 12위, 중국 14위, 일본은 38위입니다.

국민소득 3만달러·인구 5천만 이상 국가인 '30-50클럽' 7개국 중에서 미국에 이어 우리나라가 두 번째입니다.

4대 분야별로 살펴보면 '기업 효율성' 분야가 33위에서 23위로 10계단 올라 종합 순위 상승을 이끌었습니다.

생산성·효율성(41→33위), 노동시장(39→31위), 금융(36→29위), 경영관행(35→28위), 태도·가치관(18→11위) 등 5개 부문 골고루 상승했습니다.

하지만 '정부 효율성' 분야는 38위에서 39위로 떨어졌습니다.

재정(40→38위), 제도 여건(33→30위), 기업 여건(53→47위), 사회 여건(33→29위) 등 4개 부문 순위가 올랐으나 조세정책이 26위에서 34위로 하락한 결과입니다.

조세정책 부문 중 2022년 기준 국내총생산(GDP) 대비 총조세가 32위에서 38위로, 소득세가 35위에서 41위로, 법인세가 48위에서 58위로 떨어졌습니다. 기재부 관계자는 "조세 부담 증가가 순위 하락을 이끌었다"고 설명했습니다.

기재부 관계자는 "앞으로 평가 결과를 참조해 '민간이 끌고 정부가 미는 역동적 경제' 정책 기조에 따라 기업 효율성 제고를 더 적극적으로 뒷받침하겠다"며 "종합적인 국가경쟁력 강화에 더욱 힘쓸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채널A 뉴스] 구독하기

이시각 주요뉴스

댓글
댓글 0개

  • 첫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