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뉴시스
1월부터 9월까지 관세청이 단속한 10kg 이상 대량 밀수는 15건, 272kg으로 전년동기대비 건수는 200%, 중량은 330% 증가했습니다.
1월부터 9월까지 마약의 주요 밀수경로는 건수 기준으로 △국제우편(319건, 51%) △특송화물(156건, 25%) △여행자(141건, 23%) △기타경로(7건, 1%) 순이다. 중량 기준으로는 △특송화물(272kg, 47%) △국제우편(145kg, 25%) △여행자(95kg, 17%) △기타 경로(62kg, 11%) 순입니다.
적발된 마약의 주요 출발국은 중량 기준으로 △태국(110건, 233kg) △미국(137건, 110kg) △멕시코(2건, 29kg) △말레이시아(13건, 26kg) △캐나다(16건, 25kg) △네덜란드(26건, 22kg) 순입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적발 중량 기준으로 태국과 미국이 여전히 1위와 2위를 차지했습니다. 두 나라 모두 유엔마약범죄사무소(UNODC)가 발표한 주요 필로폰 생산지역과 인접해 있다는 점, 대마 합법화 지역이라는 점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적발된 마약의 주요 품목을 보면 중량 기준으로 △필로폰(122건, 154kg) △코카인(6건, 62kg) △대마 (172건, 46kg) △케타민(51건, 33kg) 등 순입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적발 중량 기준 필로폰은 33%, 코카인은 919%, 케타민은 5% 증가했고, 대마는 62% 감소했습니다.
케타민은 마취제로 사용되고 유흥업소나 클럽에서 ‘데이트 강간 약물(date-rape-drug)’로 불리는 향정신성물질입니다. 2022년부터 밀수 시도가 증가하는 추세가 이어지는 것으로 분석되는데, 연도별로 보면 2020년 1kg→2021년 6kg→2022년 22kg→2023년 38kg→2024년 1∼9월 33kg입니다.
한민 관세청 조사국장은 "지난해 마약류 사범이 2만 7000명으로 급증한 국내 상황으로 볼 때 국내 마약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어, 현재와 같은 마약류 밀수 시도 역시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습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