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1일 부산항 컨테이너 선적 모습 (사진=뉴시스)
오늘(7일) OECD에는 한국의 올해 잠재성장률은 1.9%로 추정했습니다.
한국의 OECD의 잠재성장률 추정치가 1%대로 내려간 경우는 2001년 이후 이번이 처음입니다.
잠재성장률은 국가가 인력·자본 등 모든 생산 요소를 동원하면서도 물가 상승을 유발하지 않고 달성할 수 있는 최대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말합니다.
OECD가 추정한 주요 7개국(G7)의 올해 잠재성장률은 미국(2.1%), 캐나다(1.7%), 이탈리아(1.3%), 영국(1.2%), 프랑스(1.0%), 독일(0.5%), 일본(0.2%) 순이었습니다.
캐나다(1.5→1.7%), 이탈리아(1.0→1.3%), 영국(0.9→1.2%) 등 G7 국가들의 잠재성장률은 2021년 대비 상승했다는 점,
그리고 우리보다 경제규모가 큰 미국도 2% 성장률이라는 점을 고려했을 때, 우리 경제 성장 동력이 빠르게 둔화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앞서 한국은행은 지난해 12월, 코로나19 이후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시 분석한 결과 우리경제의 2024~2026년 잠재성장률이 2% 수준으로 추정됐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