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오늘 밤 극한 호우가 예보돼 있는데요,
빗물이 빠져나가는 통로인 빗물받이가 낙엽과 쓰레기로 꽉 차 피해를 키우는 일이 많았죠.
지금은 괜찮을까요?
김승희 기자가 현장을 점검해봤습니다.
[기자]
반지하 주택이 밀집한 빌라촌입니다.
골목길 빗물받이 위에 고무매트가 덮여 있습니다.
한쪽에는 담배꽁초가 빽빽합니다.
또 다른 빗물받이, 쓰레기 봉투와 일회용 컵이 나뒹굽니다.
대로변으로 나가봤습니다.
비가 조금씩 다시 오기 시작했는데요.
빗물받이 안을 보니 흙탕물이 꽉 찼습니다.
배수가 안 돼 비가 조금만 더 내리면 바로 넘칠 수밖에 없습니다.
낙엽들이 쌓여 빗물받이가 잘 보이지도 않습니다.
환경미화원이 새벽 5시부터 현장을 돌고 있지만, 치워도 그때뿐입니다.
도로 한 블록만 돌면, 75리터 대형 쓰레기 봉투가 꽉 찹니다.
[홍창민 / 종로구청 환경미화원]
"상시로 계속 청소하고 있거든요. 담배꽁초랑 나뭇가지. 오늘 세 번 나왔어요. 비가 너무 많이 와서 빗물받이가 막혀서."
일부 자치구에서는 쓰레기가 들어가지 않게 아예 스마트 빗물받이까지 만들었습니다.
평소엔 덮개가 덮여있고, 비가 오면 센서가 감지해 자동으로 열리는 방식입니다.
자치구마다 빗물받이 상태가 다른 건 청소 관련 가이드라인이 없어 방식이 제각각이기 때문입니다.
[서해엽 / 환경부 생활하수과장]
"빗물받이 청소는 사람이 하기가 생각보다 어려워요. (청소) 외주화 방안을 적극 검토하도록 규정화를 시키는 건데. 지자체나 관계부처 의견 수렴 중이에요."
환경부는 다음 달까지 청소·관리 기준을 마련할 방침이지만, 집중호우 때마다 시민들의 불안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채널A 뉴스 김승희입니다.
영상취재 채희재 박희현
영상편집 변은민
오늘 밤 극한 호우가 예보돼 있는데요,
빗물이 빠져나가는 통로인 빗물받이가 낙엽과 쓰레기로 꽉 차 피해를 키우는 일이 많았죠.
지금은 괜찮을까요?
김승희 기자가 현장을 점검해봤습니다.
[기자]
반지하 주택이 밀집한 빌라촌입니다.
골목길 빗물받이 위에 고무매트가 덮여 있습니다.
한쪽에는 담배꽁초가 빽빽합니다.
또 다른 빗물받이, 쓰레기 봉투와 일회용 컵이 나뒹굽니다.
대로변으로 나가봤습니다.
비가 조금씩 다시 오기 시작했는데요.
빗물받이 안을 보니 흙탕물이 꽉 찼습니다.
배수가 안 돼 비가 조금만 더 내리면 바로 넘칠 수밖에 없습니다.
낙엽들이 쌓여 빗물받이가 잘 보이지도 않습니다.
환경미화원이 새벽 5시부터 현장을 돌고 있지만, 치워도 그때뿐입니다.
도로 한 블록만 돌면, 75리터 대형 쓰레기 봉투가 꽉 찹니다.
[홍창민 / 종로구청 환경미화원]
"상시로 계속 청소하고 있거든요. 담배꽁초랑 나뭇가지. 오늘 세 번 나왔어요. 비가 너무 많이 와서 빗물받이가 막혀서."
일부 자치구에서는 쓰레기가 들어가지 않게 아예 스마트 빗물받이까지 만들었습니다.
평소엔 덮개가 덮여있고, 비가 오면 센서가 감지해 자동으로 열리는 방식입니다.
자치구마다 빗물받이 상태가 다른 건 청소 관련 가이드라인이 없어 방식이 제각각이기 때문입니다.
[서해엽 / 환경부 생활하수과장]
"빗물받이 청소는 사람이 하기가 생각보다 어려워요. (청소) 외주화 방안을 적극 검토하도록 규정화를 시키는 건데. 지자체나 관계부처 의견 수렴 중이에요."
환경부는 다음 달까지 청소·관리 기준을 마련할 방침이지만, 집중호우 때마다 시민들의 불안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채널A 뉴스 김승희입니다.
영상취재 채희재 박희현
영상편집 변은민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