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Q. 성혜란 기자와 여랑야랑 시작합니다. [첫번째 주제] 보겠습니다. 용산 대통령실 모습인데, 5개 뭘 뽑았나요?
A. 콘크리트 기둥입니다.
경호처가 용산 대통령실 경내에 있던 콘크리트 기둥 5개를 지난 주말 철거했다고 하는데요.
Q. 콘크리트 기둥? 저건가요?
언뜻 보면 기둥이 아니라 작은 나무처럼 보이기도 하는데요.
경호처가 밝힌 콘크리트 수직 기둥 높이, 3~4m 될 정도로 큽니다.
하지만 보이는 건 50cm 정도로 사철나무로 가려져 있습니다.
Q. 엄청 큰 기둥, 저건 언제 세운 거에요?
A. 위성사진 준비했는데요.
옛 육군사무소 앞에 5개 구조물 보이죠.
2022년엔 없던 게 2023년 4월 포착됐습니다.
Q. 2023년 4월이면, 윤석열 전 대통령이 용산으로 대통령실 옮긴 이후네요. 굳이 왜 철거를 한 거에요?
경호처는 배수시설인데, 필요하지도 않고, 경호상 위해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는데요.
이런 의혹도 나옵니다.
[최재영 / 목사 (지난해 5월)]
사이비 무속인으로부터 자문을 받고 의뢰를 하여 매설한 것으로 추정되는 의문의 구조물에 대한 의혹을 대통령실에 공식적으로 제기하고….
Q. 윤 전 대통령 측이 주술적인 이유로 세운 기둥이라는 의혹이군요?
무속에서 오방신은 다섯 방향을 관장하며 악을 몰아낸단 뜻이 있죠.
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전 정부에서 5개 기둥 심었다는 겁니다.
정체를 놓고 논란 빚었던 기둥, 궁금증을 남긴채 역사 속으로 사라졌습니다.
구성: 성혜란 기자, 김지숙 작가
연출·편집: 정새나 PD, 박소윤 PD, 이지은 AD
그래픽: 천민선 디자이너
Q. 성혜란 기자와 여랑야랑 시작합니다. [첫번째 주제] 보겠습니다. 용산 대통령실 모습인데, 5개 뭘 뽑았나요?
A. 콘크리트 기둥입니다.
경호처가 용산 대통령실 경내에 있던 콘크리트 기둥 5개를 지난 주말 철거했다고 하는데요.
Q. 콘크리트 기둥? 저건가요?
언뜻 보면 기둥이 아니라 작은 나무처럼 보이기도 하는데요.
경호처가 밝힌 콘크리트 수직 기둥 높이, 3~4m 될 정도로 큽니다.
하지만 보이는 건 50cm 정도로 사철나무로 가려져 있습니다.
Q. 엄청 큰 기둥, 저건 언제 세운 거에요?
A. 위성사진 준비했는데요.
옛 육군사무소 앞에 5개 구조물 보이죠.
2022년엔 없던 게 2023년 4월 포착됐습니다.
Q. 2023년 4월이면, 윤석열 전 대통령이 용산으로 대통령실 옮긴 이후네요. 굳이 왜 철거를 한 거에요?
경호처는 배수시설인데, 필요하지도 않고, 경호상 위해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는데요.
이런 의혹도 나옵니다.
[최재영 / 목사 (지난해 5월)]
사이비 무속인으로부터 자문을 받고 의뢰를 하여 매설한 것으로 추정되는 의문의 구조물에 대한 의혹을 대통령실에 공식적으로 제기하고….
Q. 윤 전 대통령 측이 주술적인 이유로 세운 기둥이라는 의혹이군요?
무속에서 오방신은 다섯 방향을 관장하며 악을 몰아낸단 뜻이 있죠.
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전 정부에서 5개 기둥 심었다는 겁니다.
정체를 놓고 논란 빚었던 기둥, 궁금증을 남긴채 역사 속으로 사라졌습니다.
구성: 성혜란 기자, 김지숙 작가
연출·편집: 정새나 PD, 박소윤 PD, 이지은 AD
그래픽: 천민선 디자이너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