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미국이 22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3500억 달러 대미투자 집행 방식' 등 관세 후속 협상의 핵심 쟁점을 놓고 막바지 교섭을 진행했습니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이날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함께 미 상무부 청사에서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과 약 2시간 동안 협상한 뒤 기자들과 만나 "일부 진전이 있었다"면서도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라고 밝혔습니다.
김 정책실장은 "쟁점이 하나만 있는 것은 아니다. (제가) 한두 개라고 말한 것은 쟁점이 많지 않다는 의미"라면서 "오늘도 남아 있는 쟁점에 대해서 많은 이야기를 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이전에 또 만나기로 했느냐'는 취지의 질문에는 "만나기는 어려울 것 같고, 필요하면 화상으로 해야 할 것 같다"면서 "이쪽(미국 측)도 일본에도 가고, 일찍 떠나는 것 같다. 하루 이틀 내 아마 워싱턴DC에서 떠날 거 같아서 추가로 미팅하기 힘들고 필요한 부분은 또 화상으로 해야 할 것 같다"라고 답했습니다.
'APEC 이전 타결을 기대하느냐'는 질문에는 "우리에게는 어떤 중요한 계기"라고 답했습니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22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상무부서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함께 미국 측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과 만나 한미 관세 후속 협상을 진행한 뒤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사진- 뉴스1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이날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함께 미 상무부 청사에서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과 약 2시간 동안 협상한 뒤 기자들과 만나 "일부 진전이 있었다"면서도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라고 밝혔습니다.
김 정책실장은 "쟁점이 하나만 있는 것은 아니다. (제가) 한두 개라고 말한 것은 쟁점이 많지 않다는 의미"라면서 "오늘도 남아 있는 쟁점에 대해서 많은 이야기를 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이전에 또 만나기로 했느냐'는 취지의 질문에는 "만나기는 어려울 것 같고, 필요하면 화상으로 해야 할 것 같다"면서 "이쪽(미국 측)도 일본에도 가고, 일찍 떠나는 것 같다. 하루 이틀 내 아마 워싱턴DC에서 떠날 거 같아서 추가로 미팅하기 힘들고 필요한 부분은 또 화상으로 해야 할 것 같다"라고 답했습니다.
'APEC 이전 타결을 기대하느냐'는 질문에는 "우리에게는 어떤 중요한 계기"라고 답했습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