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대통령실 출입하는 정치부 홍지은 기자 나왔습니다.
Q1. 홍 기자, 대통령은 왜 강선우 후보자 임명을 강행하기로 했을까, 궁금한데요. 갑질 의혹이 사실이 아니라고 보는 거예요?
갑질한 건 맞지만, 낙마까지 갈 정도는 아니라는 게 대통령의 생각입니다.
'사실 관계' 자체는 부정하지 않고 있다고 하는데요.
그런데 과연 이 사안이 장관 후보자직을 그만두게 할 정도의 중대한 사안이냐, 아니라고 판단한 거죠.
Q2. 갑질이지만 낙마까진 아니다? 갑질에도 수위가 있다 이런 뜻일까요?
법조인 출신 대통령이 적격성을 따져볼 때 판단할 첫 번째 기준, 법을 위반했냐, 아니냐 여부로 보는 것 같습니다.
갑질 의혹은 행위의 부적절성 측면이지 위법 영역은 아니라고 판단한거죠.
"갑질은 상대적이고 주관적" 이라는 여당의 목소리와 같은 결이죠.
Q3. 위법이 아니면 갑질은 해도 된다는 건가요?
저도 똑같이 그 질문을 대통령실 관계자에게 해봤는데요.
가장 곤혹스러워하는 부분이기도 했습니다.
'갑질'이라는게 법적 영역에서 따질게 아니라, 국민 정서 위에서 다뤄져야 할 문제이기 때문이겠죠.
"임명 강행으로 이재명 정부 뿌리 하나가 흔들리게 됐다"고까지 말한 관계자도 있었는데, 약자 편에서 싸우겠다던 그간의 외침이 무색하게 됐다는 자조섞인 목소리도 나왔습니다.
[ 대선 후보 마지막 유세 (지난달 2일) ]
"이재명이 꿈꿔왔던 강자의 폭력을 제지하고, 약자를 보듬어서 모두가 함께 사는 세상…."
Q4. 뻔히 이런 부담을 알면서도 임명한 진짜 이유가 뭘까요?
대통령실 인사들의 이야기를 종합해보면, 대통령의 기본적인 생각은 이렇습니다.
여야 국회의원들이 보좌진에게 하고 있는 행위들을 큰 틀에서 봐야 한다는 것입니다.
여의도에 횡행하고 고쳐야 하는 갑질 문화인데, 콕 짚어 강 후보자만의 문제로만 볼 수 있냐는 의심이 깔려 있는 거죠.
또 이 갑질 의혹이 여성 정책 의제가 핵심인 여성가족부 장관 업무와 직결되는 건 아니라고 보고 있습니다.
논문 표절 의혹은 교육부와 직결되기 때문에 지명 철회한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와는 다르다는 거죠.
악용될 여지도 우려했다는데요.
이 대통령이 참모들에게 계속 물었던 게 "의혹의 실체가 뭐냐" 였다고 합니다.
제보 만으로 낙마시킬 수 있냐, 이렇게 의심했던 것 같습니다.
현역 의원 출신 참모, 장관 후보자 다 합하면 10여 명이 넘는데 갑질 폭로가 나오면 다 중도 사퇴시켜야 하냐, 앙심 품고 제보하기 시작하면 제2의 강선우가 수두룩 나오는 거 아니냐, 후폭풍도 고심했던 거죠.
Q6. 그러면 적어도 그 갑질이 일방적인 주장인지, 실체가 있는지 따져는 봐야 하는 것 아닙니까?
그 부분에선 비판 받을 소지가 있어 보이죠.
야권에서는 청문회 증인 제로, 애초부터 갑질 의혹을 밝힐 생각도 없었다고 비판하고 있거든요.
처음부터 제보자들의 왜곡된 주장이라며 감추려고 했었다는 거죠.
Q7. 그러다보니, 강선우 후보자가 아니어도 부담을 안고 갔을까, 다른 이유를 찾게 되는 것 같아요.
여권에서도 강선우라서 부담을 감수하는 거 아니냐, 이런 이야기가 나오긴 합니다.
강 후보자, 강성 친명 성향의 최대 모임인 '더민주 전국혁신회의' 공동 상임 대표를 맡았었죠.
야당에서는 대통령 측근인 성남-경기 라인과의 각별한 관계도 살아난 배경일 거라고 보고 있습니다.
대통령과 각별한 사이라는 게 진짜 배경일 거란 거죠.
Q8. 그럼 이제 다음주 화요일 국무회의에서 강선우 후보자 장관으로 볼 수 있는 건가요?
이번 주 안으로 임명까지 속전속결 끝내 볼 수 있을 거라고 하더라고요.
하지만 아직은 임명 전이죠, 추가 폭로 등 변수도 완전히 배제할 순 없습니다.
지금까지 아는기자 정치부 홍지은 기자였습니다.
대통령실 출입하는 정치부 홍지은 기자 나왔습니다.
Q1. 홍 기자, 대통령은 왜 강선우 후보자 임명을 강행하기로 했을까, 궁금한데요. 갑질 의혹이 사실이 아니라고 보는 거예요?
갑질한 건 맞지만, 낙마까지 갈 정도는 아니라는 게 대통령의 생각입니다.
'사실 관계' 자체는 부정하지 않고 있다고 하는데요.
그런데 과연 이 사안이 장관 후보자직을 그만두게 할 정도의 중대한 사안이냐, 아니라고 판단한 거죠.
Q2. 갑질이지만 낙마까진 아니다? 갑질에도 수위가 있다 이런 뜻일까요?
법조인 출신 대통령이 적격성을 따져볼 때 판단할 첫 번째 기준, 법을 위반했냐, 아니냐 여부로 보는 것 같습니다.
갑질 의혹은 행위의 부적절성 측면이지 위법 영역은 아니라고 판단한거죠.
"갑질은 상대적이고 주관적" 이라는 여당의 목소리와 같은 결이죠.
Q3. 위법이 아니면 갑질은 해도 된다는 건가요?
저도 똑같이 그 질문을 대통령실 관계자에게 해봤는데요.
가장 곤혹스러워하는 부분이기도 했습니다.
'갑질'이라는게 법적 영역에서 따질게 아니라, 국민 정서 위에서 다뤄져야 할 문제이기 때문이겠죠.
"임명 강행으로 이재명 정부 뿌리 하나가 흔들리게 됐다"고까지 말한 관계자도 있었는데, 약자 편에서 싸우겠다던 그간의 외침이 무색하게 됐다는 자조섞인 목소리도 나왔습니다.
[ 대선 후보 마지막 유세 (지난달 2일) ]
"이재명이 꿈꿔왔던 강자의 폭력을 제지하고, 약자를 보듬어서 모두가 함께 사는 세상…."
Q4. 뻔히 이런 부담을 알면서도 임명한 진짜 이유가 뭘까요?
대통령실 인사들의 이야기를 종합해보면, 대통령의 기본적인 생각은 이렇습니다.
여야 국회의원들이 보좌진에게 하고 있는 행위들을 큰 틀에서 봐야 한다는 것입니다.
여의도에 횡행하고 고쳐야 하는 갑질 문화인데, 콕 짚어 강 후보자만의 문제로만 볼 수 있냐는 의심이 깔려 있는 거죠.
또 이 갑질 의혹이 여성 정책 의제가 핵심인 여성가족부 장관 업무와 직결되는 건 아니라고 보고 있습니다.
논문 표절 의혹은 교육부와 직결되기 때문에 지명 철회한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와는 다르다는 거죠.
악용될 여지도 우려했다는데요.
이 대통령이 참모들에게 계속 물었던 게 "의혹의 실체가 뭐냐" 였다고 합니다.
제보 만으로 낙마시킬 수 있냐, 이렇게 의심했던 것 같습니다.
현역 의원 출신 참모, 장관 후보자 다 합하면 10여 명이 넘는데 갑질 폭로가 나오면 다 중도 사퇴시켜야 하냐, 앙심 품고 제보하기 시작하면 제2의 강선우가 수두룩 나오는 거 아니냐, 후폭풍도 고심했던 거죠.
Q6. 그러면 적어도 그 갑질이 일방적인 주장인지, 실체가 있는지 따져는 봐야 하는 것 아닙니까?
그 부분에선 비판 받을 소지가 있어 보이죠.
야권에서는 청문회 증인 제로, 애초부터 갑질 의혹을 밝힐 생각도 없었다고 비판하고 있거든요.
처음부터 제보자들의 왜곡된 주장이라며 감추려고 했었다는 거죠.
Q7. 그러다보니, 강선우 후보자가 아니어도 부담을 안고 갔을까, 다른 이유를 찾게 되는 것 같아요.
여권에서도 강선우라서 부담을 감수하는 거 아니냐, 이런 이야기가 나오긴 합니다.
강 후보자, 강성 친명 성향의 최대 모임인 '더민주 전국혁신회의' 공동 상임 대표를 맡았었죠.
야당에서는 대통령 측근인 성남-경기 라인과의 각별한 관계도 살아난 배경일 거라고 보고 있습니다.
대통령과 각별한 사이라는 게 진짜 배경일 거란 거죠.
Q8. 그럼 이제 다음주 화요일 국무회의에서 강선우 후보자 장관으로 볼 수 있는 건가요?
이번 주 안으로 임명까지 속전속결 끝내 볼 수 있을 거라고 하더라고요.
하지만 아직은 임명 전이죠, 추가 폭로 등 변수도 완전히 배제할 순 없습니다.
지금까지 아는기자 정치부 홍지은 기자였습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