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7 대책 이전 최고가 거래 상위 10개 구의 대책 이후 거래량 변화. (사진=직방)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국토교통부 서울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6·27 부동산 대책 발표 후 2주간 최고가 거래량은 발표 전 2주와 비교해 74% 감소했습니다.
6·27 대책 발표 전 2주간 아파트 거래 4693건 가운데 최고가 거래는 1141건으로 24.3%를 차지했습니다.
하지만 정부의 대출규제 시행으로 대책 발표 후 2주간 거래량은 1312건, 최고가 거래량은 300건으로 급감했습니다.
최고가 거래량은 대책 발표 전과 비교해 74% 급감했고 최고가 거래 비중도 22.9%로 직전 2주보다 축소됐습니다.
특히 대책 발표 전 과열 양상을 보였던 마포·성동·강동구 등에서 거래 급감이 두드러졌습니다.
성동구는 139건에서 22건으로, 마포구는 137건에서 18건으로, 강동구는 114건에서 23건으로 각각 줄었습니다.
텐즈힐2단지, 공덕자이, 래미안힐스테이트고덕 등 대단지에서도 최고가 거래가 감소했습니다.
강남권도 유사한 흐름을 보였습니다.
강남구는 112건에서 41건으로 63%, 서초구는 37건에서 9건, 송파구는 64건에서 27건으로 각각 감소했습니다.
단, 토지거래허가구역 내 거래는 계약일과 실거래일 간 시차가 있어 수치 해석에 주의가 필요하다고 직방은 설명했습니다.
이처럼 서울·수도권 주택시장은 짙은 관망세에 접어든 분위기입니다.
대출 제한과 무주택 요건 강화 등 강도 높은 규제가 실수요자와 투자자 모두의 매수심리를 꺾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직방 관계자는 "서울 외곽이나 경기권 일부 지역이 상대적으로 덜 규제를 받는 대체지로 주목받을 수 있다"며 "추가 규제 예고에 따라 수요자들은 한동안 신중한 관망세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습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