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대통령의 강 후보자 임명 강행엔 여당의 강력한 요구가 있었었죠.
그런 여당도 싸늘해지는 여론에 버티질 못했습니다.
뒤늦게 "강 후보자가 일찍 결단했으면"하는 만시지탄 이야기가 나왔습니다.
정연주 기자입니다.
[기자]
강선우 후보자가 자진사퇴하자, 민주당은 강 후보자의 결단을 높이 평가했습니다.
[박상혁 /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
"더불어민주당은 강선우 후보자의 결단을 존중합니다. 그 마음들을 다 존중하고 그 마음들이 결단의 배경일 것으로 짐작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내부적으로는 여론 악화에 따른 위기감으로 종일 대책 회의가 이어졌습니다.
오전 최고위 비공개 회의에선 취임 후 첫 대통령 지지율 하락세 전환, 강 후보자에 대한 높은 부적합 조사 등을 두고 우려가 터져나왔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한 지도부 의원은 "부적합 응답률이 60%를 넘긴 여론조사가 결정타였다"고 말했고, 또다른 지도부 의원은 "오전 회의에서 강 후보자를 놓고 의원들 사이 갑론을박이 벌어졌다"며 "이대로 가다간 대통령에 부담이 되니 강 후보자를 설득해야한다는 이야기도 나왔다"고 말했습니다.
김병기 원내대표는 비공개 의원총회에서 의원들의 우려 목소리에 "잘 되도록 하겠다"고 했고, 당 대표 선거 중인 박찬대 의원은 "이재명 정부 성공을 위해 힘들지만 결정해야 한다"며 자진 사퇴를 공개 촉구했습니다.
[박찬대]
"더 이상 미루기 어렵지 않을까 그런 생각이 좀 들었고요. 국민의 눈높이를 잘 고려해서 본인의 결정이 필요하지 않을까"
뒤늦게 자성의 목소리도 나왔습니다.
[노종면/더불어민주당 의원]
"조금만 빨리 결심을 해 주셨으면 어땠을까"
대통령실에 강 후보자 임명 강행을 건의했던 여당, 동료 감싸기를 앞세우다 민심을 읽지 못했다는 비판을 피하기 힘들어보입니다.
채널A 뉴스 정연주입니다.
영상취재 김재평
영상편집 박형기
대통령의 강 후보자 임명 강행엔 여당의 강력한 요구가 있었었죠.
그런 여당도 싸늘해지는 여론에 버티질 못했습니다.
뒤늦게 "강 후보자가 일찍 결단했으면"하는 만시지탄 이야기가 나왔습니다.
정연주 기자입니다.
[기자]
강선우 후보자가 자진사퇴하자, 민주당은 강 후보자의 결단을 높이 평가했습니다.
[박상혁 /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
"더불어민주당은 강선우 후보자의 결단을 존중합니다. 그 마음들을 다 존중하고 그 마음들이 결단의 배경일 것으로 짐작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내부적으로는 여론 악화에 따른 위기감으로 종일 대책 회의가 이어졌습니다.
오전 최고위 비공개 회의에선 취임 후 첫 대통령 지지율 하락세 전환, 강 후보자에 대한 높은 부적합 조사 등을 두고 우려가 터져나왔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한 지도부 의원은 "부적합 응답률이 60%를 넘긴 여론조사가 결정타였다"고 말했고, 또다른 지도부 의원은 "오전 회의에서 강 후보자를 놓고 의원들 사이 갑론을박이 벌어졌다"며 "이대로 가다간 대통령에 부담이 되니 강 후보자를 설득해야한다는 이야기도 나왔다"고 말했습니다.
김병기 원내대표는 비공개 의원총회에서 의원들의 우려 목소리에 "잘 되도록 하겠다"고 했고, 당 대표 선거 중인 박찬대 의원은 "이재명 정부 성공을 위해 힘들지만 결정해야 한다"며 자진 사퇴를 공개 촉구했습니다.
[박찬대]
"더 이상 미루기 어렵지 않을까 그런 생각이 좀 들었고요. 국민의 눈높이를 잘 고려해서 본인의 결정이 필요하지 않을까"
뒤늦게 자성의 목소리도 나왔습니다.
[노종면/더불어민주당 의원]
"조금만 빨리 결심을 해 주셨으면 어땠을까"
대통령실에 강 후보자 임명 강행을 건의했던 여당, 동료 감싸기를 앞세우다 민심을 읽지 못했다는 비판을 피하기 힘들어보입니다.
채널A 뉴스 정연주입니다.
영상취재 김재평
영상편집 박형기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