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여전히 풀리지 않는 의문들은 경찰 프로파일러 출신인 배상훈 우석대 경찰행정학과 교수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Q. 교수님 지금 유가족이 입장문을 냈습니다. 이 남성이 아들뿐 아니라 며느리와 손주까지 살해하려 했다. 어떻게 보십니까.
A. 충분히 가능한 얘기입니다. 그러니까 아들만 살해하려고 그런 것이 아니라 가족 전체를 노렸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반대로 그렇게 느꼈을 수도 있습니다.
원래 아들을 노리고 공격을 했는데 살인에 대한 감정의 여운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는 주변에 있는 사람도 노릴 수 있는 가능성이 범죄 심리는 가능하거든요. 두 가지가 겹쳐 있다고 하면, 피해자들은 그렇게 충분히 느낄 수 있는 상황이 됩니다.
Q. 또 하나, 지금 유족 측이 주장하는 게 당시 생일 파티 현장에 아들 부부의 지인도 있었는데, 이 지인을 향해서도 방아쇠를 당겼다는 얘기예요. 하지만 천만다행으로 불발이 됐는데 그렇다면 여기 있던 모든 사람들을 살해하려 하는 그런 의도가 아니었나 이런 의심도 들거든요.
A. 네 충분히 가능합니다. 앞서 다시 말씀드리면 살해 의도가 주된 의도와 그것을 받쳐주는 감정적 여운이 나눠질 수 있거든요. 보통은 우리가 이제 '다 살해해야겠어'라고 할 때 감정을 동시에 폭발시키지 못합니다. 그러니까 여기부터 공격하고 그 다음에 그것에 방해되는 어떤 존재를 또 공격하는 경우가 있을 때, 이게 주된 살해 의도인지는 또 검토를 해봐야 되거든요.
분명히 근데 거기에 있던 사람은, 자신을 살해하겠다는 의도를 느꼈을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이것의 심리적 격차는 존재하거든요. 두 가지 차원을 같이 보면서, 경찰은 어떤 총기의 사용 방향이라든가 그때 사용된 어떤 결과물들을 보고 판단할 겁니다.
Q. 또 유가족 측이 이야기하는 게 알려진 것과 다르게 이게 이혼 이후 가정 불화가 범행 동기가 아니다 이렇게 이야기를 하고 있거든요. 그럼 범행 동기 더 오리무중 아닙니까.
A. 우리가 보통 범죄 심리에서는 동기라는 걸 크게 두 가지로 나눕니다. 모티브와 인텐트로 나누는데. 말하자면 오래된 동기와 최근의 동기를 구분을 합니다. 누적된 형태의 것은 사실은 범인이 느끼기에는 약간 소외가 된 상태였다. 근데 실제로 그렇지 않을 수가 있습니다. 그러니까 인식의 차이 때문에. 오래된 동기는 가정불화일 수 있는데 실제로 최근에는 잘 지낼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가족들이 느끼기에는 전혀, 좀 이상한데라고 느낄 수 있기 때문에. 말하자면 심리적 차원에서는 동시에 존재할 수 있습니다.
Q. 어젯밤 이 남성은 구속이 됐거든요. 어제 교수님께서도 말씀하셨던 게 이 남성이 아마 살해 이후에 과업을 이룬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고 하셨는데. 구속 이후에 이 남성 심리에 어떤 변화가 있을까요?
A. 보통 이런 경우는 본인이 무엇을 목적으로 했는가에 따라 다른 거죠. 피해자 측 가족은 실제로 가정 불화가 아니고, 개인적인 어떤 분노의 폭발이다라고 했으면은 실제 이 부분은 어떤 과업의 완수 이런 것보다는. 자신의 분노를 폭발했기 때문에 일정 정도 '쿨링' 단계일 건데. 만약에 그렇지 않은 단계라고 하면 실제로는 굉장히 흥분해 있거나 아니면 다시 뭔가를 하려고 하는. 말을 많이 하려고 상태가 되거든요. 지금 상태는 그걸 보면 알 수 있습니다.
Q. 지금 프로파일러가 투입돼서 이틀째 조사가 진행 중인데 여전히 이 남성이 입을 다물고 있다고 해요. 언제까지 그럴 걸로 보십니까?
A. 보통 프로파일러가 투입된다고 해서 한두 시간 안에 얘기를 시킬 수 있는 프로파일러는 없습니다. 보통은 한 이틀이나 3일 정도. 왜냐하면 이 정도의 분노가 축적돼 있는 사람이라고 보면은 보통의 그 분노의 겹을 풀 때는, 라포를 형성해야 되고.
그 다음 단계에 말을 하게 하고. 그 말 중에 거짓말을 풀어내야 되는. 3단계가 필요한데 이틀이나 3일 정도가 필요합니다. 바로 되기는 어렵습니다.
Q. 경찰이 원래는 이 남성의 신상을 공개하는 방안도 검토했다고 해요. 근데 이제 유족 측이 2차 피해를 우려해서 반대하고 있다고 하는데 그럼 이런 부분들도 고려가 됩니까?
A. 가정과 관련된 가족과 관련된 신상 공개는 아동이 관련된 부분은 사실은 거의 공개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지금 이게 성인과 관련된 성인과 아동이 다 같이 관련된 거거든요. 그러니까 조금 곤란을 겪을 겁니다. 왜냐하면 신상공개 위원회 위원님들도 어디가 더 실익이 있을지. 공적 이익이냐 아니면 아동의 보호냐 그 부분인데.
제가 보기에는 사실은 공개가 되지 않을 것 같아요. 왜냐하면 아이들이 있고. 아이들의 인권도 보호해야 되기 때문에 지금 상태는 그쪽이 조금 강한 것 같습니다.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지금까지 배상훈 우석대 교수와 이야기 나눠봤습니다.
교수님 오늘 말씀 잘 들었습니다.
여전히 풀리지 않는 의문들은 경찰 프로파일러 출신인 배상훈 우석대 경찰행정학과 교수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Q. 교수님 지금 유가족이 입장문을 냈습니다. 이 남성이 아들뿐 아니라 며느리와 손주까지 살해하려 했다. 어떻게 보십니까.
A. 충분히 가능한 얘기입니다. 그러니까 아들만 살해하려고 그런 것이 아니라 가족 전체를 노렸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반대로 그렇게 느꼈을 수도 있습니다.
원래 아들을 노리고 공격을 했는데 살인에 대한 감정의 여운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는 주변에 있는 사람도 노릴 수 있는 가능성이 범죄 심리는 가능하거든요. 두 가지가 겹쳐 있다고 하면, 피해자들은 그렇게 충분히 느낄 수 있는 상황이 됩니다.
Q. 또 하나, 지금 유족 측이 주장하는 게 당시 생일 파티 현장에 아들 부부의 지인도 있었는데, 이 지인을 향해서도 방아쇠를 당겼다는 얘기예요. 하지만 천만다행으로 불발이 됐는데 그렇다면 여기 있던 모든 사람들을 살해하려 하는 그런 의도가 아니었나 이런 의심도 들거든요.
A. 네 충분히 가능합니다. 앞서 다시 말씀드리면 살해 의도가 주된 의도와 그것을 받쳐주는 감정적 여운이 나눠질 수 있거든요. 보통은 우리가 이제 '다 살해해야겠어'라고 할 때 감정을 동시에 폭발시키지 못합니다. 그러니까 여기부터 공격하고 그 다음에 그것에 방해되는 어떤 존재를 또 공격하는 경우가 있을 때, 이게 주된 살해 의도인지는 또 검토를 해봐야 되거든요.
분명히 근데 거기에 있던 사람은, 자신을 살해하겠다는 의도를 느꼈을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이것의 심리적 격차는 존재하거든요. 두 가지 차원을 같이 보면서, 경찰은 어떤 총기의 사용 방향이라든가 그때 사용된 어떤 결과물들을 보고 판단할 겁니다.
Q. 또 유가족 측이 이야기하는 게 알려진 것과 다르게 이게 이혼 이후 가정 불화가 범행 동기가 아니다 이렇게 이야기를 하고 있거든요. 그럼 범행 동기 더 오리무중 아닙니까.
A. 우리가 보통 범죄 심리에서는 동기라는 걸 크게 두 가지로 나눕니다. 모티브와 인텐트로 나누는데. 말하자면 오래된 동기와 최근의 동기를 구분을 합니다. 누적된 형태의 것은 사실은 범인이 느끼기에는 약간 소외가 된 상태였다. 근데 실제로 그렇지 않을 수가 있습니다. 그러니까 인식의 차이 때문에. 오래된 동기는 가정불화일 수 있는데 실제로 최근에는 잘 지낼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가족들이 느끼기에는 전혀, 좀 이상한데라고 느낄 수 있기 때문에. 말하자면 심리적 차원에서는 동시에 존재할 수 있습니다.
Q. 어젯밤 이 남성은 구속이 됐거든요. 어제 교수님께서도 말씀하셨던 게 이 남성이 아마 살해 이후에 과업을 이룬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고 하셨는데. 구속 이후에 이 남성 심리에 어떤 변화가 있을까요?
A. 보통 이런 경우는 본인이 무엇을 목적으로 했는가에 따라 다른 거죠. 피해자 측 가족은 실제로 가정 불화가 아니고, 개인적인 어떤 분노의 폭발이다라고 했으면은 실제 이 부분은 어떤 과업의 완수 이런 것보다는. 자신의 분노를 폭발했기 때문에 일정 정도 '쿨링' 단계일 건데. 만약에 그렇지 않은 단계라고 하면 실제로는 굉장히 흥분해 있거나 아니면 다시 뭔가를 하려고 하는. 말을 많이 하려고 상태가 되거든요. 지금 상태는 그걸 보면 알 수 있습니다.
Q. 지금 프로파일러가 투입돼서 이틀째 조사가 진행 중인데 여전히 이 남성이 입을 다물고 있다고 해요. 언제까지 그럴 걸로 보십니까?
A. 보통 프로파일러가 투입된다고 해서 한두 시간 안에 얘기를 시킬 수 있는 프로파일러는 없습니다. 보통은 한 이틀이나 3일 정도. 왜냐하면 이 정도의 분노가 축적돼 있는 사람이라고 보면은 보통의 그 분노의 겹을 풀 때는, 라포를 형성해야 되고.
그 다음 단계에 말을 하게 하고. 그 말 중에 거짓말을 풀어내야 되는. 3단계가 필요한데 이틀이나 3일 정도가 필요합니다. 바로 되기는 어렵습니다.
Q. 경찰이 원래는 이 남성의 신상을 공개하는 방안도 검토했다고 해요. 근데 이제 유족 측이 2차 피해를 우려해서 반대하고 있다고 하는데 그럼 이런 부분들도 고려가 됩니까?
A. 가정과 관련된 가족과 관련된 신상 공개는 아동이 관련된 부분은 사실은 거의 공개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지금 이게 성인과 관련된 성인과 아동이 다 같이 관련된 거거든요. 그러니까 조금 곤란을 겪을 겁니다. 왜냐하면 신상공개 위원회 위원님들도 어디가 더 실익이 있을지. 공적 이익이냐 아니면 아동의 보호냐 그 부분인데.
제가 보기에는 사실은 공개가 되지 않을 것 같아요. 왜냐하면 아이들이 있고. 아이들의 인권도 보호해야 되기 때문에 지금 상태는 그쪽이 조금 강한 것 같습니다.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지금까지 배상훈 우석대 교수와 이야기 나눠봤습니다.
교수님 오늘 말씀 잘 들었습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