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관세 불확실성에 놓인 우리 산업계에 반가운 소식도 전해졌습니다.
삼성전자가 테슬라에 22조 원 규모의 반도체 공급 계약을 따냈습니다.
그런데 이게 다가 아닐 수도 있습니다.
머스크는 '몇배 더 큰 규모일 수 있다'는 글을 올렸습니다.
우현기 기자입니다.
[기자]
삼성전자가 22조 7천억 원 규모의 반도체 위탁생산 계약을 따냈습니다.
이는 삼성전자 전체 매출액의 7.6%에 해당하는 금액입니다.
삼성은 고객사의 비밀 유지 요구로 '글로벌 대형기업'이라고만 밝혔습니다.
하지만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자신의 SNS에 "삼성전자에 차세대 AI6 칩을 맡겼다"고 공개했습니다.
"계약 금액 165억달러는 최소액이고 실제는 몇 배 더 클 수 있다"고도 덧붙였습니다.
이는 8년 6개월 간의 장기계약으로 삼성과 테슬라가 단순 거래를 넘어 기술 동맹을 맺었단 평가가 나옵니다.
실제로 머스크는 "삼성의 텍사스 신규공장은 테슬라의 차세대 AI6칩 생산에 전념할 예정"이라며 "삼성이 테슬라가 제조 효율성을 극대화하는데 도움을 주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삼성 파운드리는 TSMC에 이어 세계 2위지만 그간 대형 외부 고객을 수주하지 못했습니다.
지난해 적자 규모만 4조 원이 넘을 것으로 추정되는 상황에서 초대형 계약을 이끌어 낸 겁니다.
[박주근 / 기업분석연구소 대표]
"누적된 적자를 이겨낼 수 있고 그리고 더 중요한 것은 2나노 공정을 충분히 돌림으로 인해서 다른 수주를 해올 수 있는 기회를 가진다는 게 가장 큰 의미가 (있습니다.)"
삼성전자 주가도 전 거래일 대비 약 6.8% 오른 7만 400원으로 마감했습니다.
채널A 뉴스 우현기입니다.
영상취재 : 강인재
영상편집 : 허민영
관세 불확실성에 놓인 우리 산업계에 반가운 소식도 전해졌습니다.
삼성전자가 테슬라에 22조 원 규모의 반도체 공급 계약을 따냈습니다.
그런데 이게 다가 아닐 수도 있습니다.
머스크는 '몇배 더 큰 규모일 수 있다'는 글을 올렸습니다.
우현기 기자입니다.
[기자]
삼성전자가 22조 7천억 원 규모의 반도체 위탁생산 계약을 따냈습니다.
이는 삼성전자 전체 매출액의 7.6%에 해당하는 금액입니다.
삼성은 고객사의 비밀 유지 요구로 '글로벌 대형기업'이라고만 밝혔습니다.
하지만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자신의 SNS에 "삼성전자에 차세대 AI6 칩을 맡겼다"고 공개했습니다.
"계약 금액 165억달러는 최소액이고 실제는 몇 배 더 클 수 있다"고도 덧붙였습니다.
이는 8년 6개월 간의 장기계약으로 삼성과 테슬라가 단순 거래를 넘어 기술 동맹을 맺었단 평가가 나옵니다.
실제로 머스크는 "삼성의 텍사스 신규공장은 테슬라의 차세대 AI6칩 생산에 전념할 예정"이라며 "삼성이 테슬라가 제조 효율성을 극대화하는데 도움을 주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삼성 파운드리는 TSMC에 이어 세계 2위지만 그간 대형 외부 고객을 수주하지 못했습니다.
지난해 적자 규모만 4조 원이 넘을 것으로 추정되는 상황에서 초대형 계약을 이끌어 낸 겁니다.
[박주근 / 기업분석연구소 대표]
"누적된 적자를 이겨낼 수 있고 그리고 더 중요한 것은 2나노 공정을 충분히 돌림으로 인해서 다른 수주를 해올 수 있는 기회를 가진다는 게 가장 큰 의미가 (있습니다.)"
삼성전자 주가도 전 거래일 대비 약 6.8% 오른 7만 400원으로 마감했습니다.
채널A 뉴스 우현기입니다.
영상취재 : 강인재
영상편집 : 허민영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