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정치부 이남희 선임기자와 더 풀어보겠습니다.
Q1. '사면초가' 국민의힘, 첫번째 위기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지금 특검 칼끝이 국민의힘을 향하고 있죠.
첫번째 위기, 바로 수사입니다.
윤상현 의원이 시작인데요.
김건희 특검이 어제 집과 사무실을 압수수색했죠.
22대 총선 당시 공천관리위원장이었던 윤 의원, 김건희 여사 공천 요구를 받아준 건지 들여다보는 겁니다.
사실 국민의힘 의원들을 더 떨게 하는 건 내란 특검입니다.
계엄 해제 표결 당시 의원 상당수를 국회가 아닌 당사로 갔죠.
내란 특검, 계엄 해제 표결 방해 의혹을 수사할 전망인데요.
당내에선 계엄 해제 표결에 참여 안 한 사람 다 조사할 거라는 흉흉한 소문까지 돌고 있습니다.
계엄해제 표결에 참여한 국민의힘 의원이 18명이니 나머지가 수사 대상 될 수 있다는 거죠.
Q2. 문제는 수사에서 끝나지 않는다는 거예요.
민주당은 "국민의힘 의원 체포동의안이 오는 족족 통과시키겠다"고 벼르고 있습니다.
체포동의안은 의석이 150석 넘는 민주당 단독으로도 통과시킬 수 있는데요.
과거 이재명 대통령 체포동의안 처리를 두고 민주당이 "정치보복"이라며 반발할 때 국민의힘은 비판했었죠.
민주당은 이제 이렇게 되받아칩니다.
"국민의힘이 (이 대통령 사법리스크 비판하면서) 불체포 특권 포기 각서도 썼다. 거기 윤상현 의원도 있다"고요.
Q3. 국민의힘의 또다른 위기, 돈줄이 막힐 수도 있는 거예요?
두번째 위기 바로 돈입니다.
민주당이 내란특별법을 발의했거든요.
내란범을 배출한 정당의 국고보조금, 차단하겠단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윤석열 전 대통령 형이 확정되면, 법 통과시 비상계엄 사태 이후 받은 보조금 토해내야 하거든요.
100억 원이 넘습니다.
앞으로도 받을 수 없습니다.
사실상 당을 해산시킬 만한 위력인 거죠.
Q4. 외부적으로 이렇게 위기인데, 당은 한 목소리를 못내고 있어요.
세 번째 위기는 분열입니다.
외부 위기가 닥쳤는데 똘똘 뭉치기도 어려운 겁니다.
윤상현 의원 수사에 대해 김용태 전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이 한 건 가지고 정치보복인지 판단하기 어렵다"고요.
국민 여론 어디로 흐를지 몰라서 "정치보복이다" "청산될 과거다" 이런 식으로 당이 한 목소리 내기도 어렵다는 겁니다.
의원 체포를 막을 힘도 없는데다 계엄, 탄핵 어떻게 볼 건지 여전히 갑론을박 하는 상황입니다.
Q5. 더 답답한 건 이 난국을 타개할 리더가 안 보인다는 거예요.
8월 전당대회 앞두고 리더는 실종됐습니다.
당 위기 돌파할 대표 주자가 안 보이니 공천이 곧 당선인 지역구의 숨은 친윤들 이른바 '언더 찐윤'이 진짜 실세라는 얘기가 나오는 겁니다.
대표주자 하면 직전 대선후보였던 김문수 전 장관과 한동훈 전 대표가 떠오르죠.
그런데 옛 친윤계에서 이 두 사람에 대해서 더 거부감을 드러내는데요.
김문수 전 장관이 되면 더 계엄의 바다로 빠질 수 있다고, 한동훈 전 대표는 자신들을 지켜주지 않을 것 같다고 우려하는 겁니다.
Q6. 사면초가인 상황에서 돌파구 찾아야 하잖아요.
국민의힘이 우여곡절 끝에 오늘 혁신위원회 띄웠습니다.
윤희숙 혁신위원장, "재창당 수준 혁신안 마련해 전당원 투표 하겠다"고 밝혔죠.
"망할 작정 아니면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면서요.
당내에선 "잘 되겠냐" 회의론 많습니다.
하지만 지금부터 8월 전당대회까지 약 두 달에 국민의힘 운명이 달렸습니다.
이 혁신위가 국민 여론을 설득할 혁신안 제대로 내고 혁신 전당대회 치러야 할 텐데요.
그렇지 않으면 내년 지방선거까지 위기가 될 것이란 우려 많습니다.
지금까지 아는기자 정치부 이남희 선임기자였습니다.
정치부 이남희 선임기자와 더 풀어보겠습니다.
Q1. '사면초가' 국민의힘, 첫번째 위기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지금 특검 칼끝이 국민의힘을 향하고 있죠.
첫번째 위기, 바로 수사입니다.
윤상현 의원이 시작인데요.
김건희 특검이 어제 집과 사무실을 압수수색했죠.
22대 총선 당시 공천관리위원장이었던 윤 의원, 김건희 여사 공천 요구를 받아준 건지 들여다보는 겁니다.
사실 국민의힘 의원들을 더 떨게 하는 건 내란 특검입니다.
계엄 해제 표결 당시 의원 상당수를 국회가 아닌 당사로 갔죠.
내란 특검, 계엄 해제 표결 방해 의혹을 수사할 전망인데요.
당내에선 계엄 해제 표결에 참여 안 한 사람 다 조사할 거라는 흉흉한 소문까지 돌고 있습니다.
계엄해제 표결에 참여한 국민의힘 의원이 18명이니 나머지가 수사 대상 될 수 있다는 거죠.
Q2. 문제는 수사에서 끝나지 않는다는 거예요.
민주당은 "국민의힘 의원 체포동의안이 오는 족족 통과시키겠다"고 벼르고 있습니다.
체포동의안은 의석이 150석 넘는 민주당 단독으로도 통과시킬 수 있는데요.
과거 이재명 대통령 체포동의안 처리를 두고 민주당이 "정치보복"이라며 반발할 때 국민의힘은 비판했었죠.
민주당은 이제 이렇게 되받아칩니다.
"국민의힘이 (이 대통령 사법리스크 비판하면서) 불체포 특권 포기 각서도 썼다. 거기 윤상현 의원도 있다"고요.
Q3. 국민의힘의 또다른 위기, 돈줄이 막힐 수도 있는 거예요?
두번째 위기 바로 돈입니다.
민주당이 내란특별법을 발의했거든요.
내란범을 배출한 정당의 국고보조금, 차단하겠단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윤석열 전 대통령 형이 확정되면, 법 통과시 비상계엄 사태 이후 받은 보조금 토해내야 하거든요.
100억 원이 넘습니다.
앞으로도 받을 수 없습니다.
사실상 당을 해산시킬 만한 위력인 거죠.
Q4. 외부적으로 이렇게 위기인데, 당은 한 목소리를 못내고 있어요.
세 번째 위기는 분열입니다.
외부 위기가 닥쳤는데 똘똘 뭉치기도 어려운 겁니다.
윤상현 의원 수사에 대해 김용태 전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이 한 건 가지고 정치보복인지 판단하기 어렵다"고요.
국민 여론 어디로 흐를지 몰라서 "정치보복이다" "청산될 과거다" 이런 식으로 당이 한 목소리 내기도 어렵다는 겁니다.
의원 체포를 막을 힘도 없는데다 계엄, 탄핵 어떻게 볼 건지 여전히 갑론을박 하는 상황입니다.
Q5. 더 답답한 건 이 난국을 타개할 리더가 안 보인다는 거예요.
8월 전당대회 앞두고 리더는 실종됐습니다.
당 위기 돌파할 대표 주자가 안 보이니 공천이 곧 당선인 지역구의 숨은 친윤들 이른바 '언더 찐윤'이 진짜 실세라는 얘기가 나오는 겁니다.
대표주자 하면 직전 대선후보였던 김문수 전 장관과 한동훈 전 대표가 떠오르죠.
그런데 옛 친윤계에서 이 두 사람에 대해서 더 거부감을 드러내는데요.
김문수 전 장관이 되면 더 계엄의 바다로 빠질 수 있다고, 한동훈 전 대표는 자신들을 지켜주지 않을 것 같다고 우려하는 겁니다.
Q6. 사면초가인 상황에서 돌파구 찾아야 하잖아요.
국민의힘이 우여곡절 끝에 오늘 혁신위원회 띄웠습니다.
윤희숙 혁신위원장, "재창당 수준 혁신안 마련해 전당원 투표 하겠다"고 밝혔죠.
"망할 작정 아니면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면서요.
당내에선 "잘 되겠냐" 회의론 많습니다.
하지만 지금부터 8월 전당대회까지 약 두 달에 국민의힘 운명이 달렸습니다.
이 혁신위가 국민 여론을 설득할 혁신안 제대로 내고 혁신 전당대회 치러야 할 텐데요.
그렇지 않으면 내년 지방선거까지 위기가 될 것이란 우려 많습니다.
지금까지 아는기자 정치부 이남희 선임기자였습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