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장관은 "조선·자동차·반도체·바이오 등 전략산업에서 미측과 협력을 강화해 새로운 시장 진출 기회로 삼겠다"며 "관세 대응을 위해 수출 애로 해소, 대체시장 개척, 세제·자금 지원 방안을 추진하고, 중장기적으로 산업 경쟁력을 압도적으로 높이는 전략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경제단체와 업계는 이번 타결로 주요국과 동등한 경쟁여건이 마련됐다고 평가하며, 취약 업종 지원과 실질적인 대미 투자 패키지 운용에 정부의 적극적 역할을 요청했습니다.
정부는 앞으로도 국익 최우선 원칙에 따라 대미 통상현안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업계와의 소통을 이어가며 후속조치를 차질 없이 이행할 계획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