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정치권 세종 이전, 아랫물은 ‘이주’ 윗물은 ‘모르쇠’

2014-07-06 00:00 정치,정치

정부 청사가 들어선 세종시는 공무원들이 주거지를 옮겨오면서 인구가 늘고 있는데요.

그런데 정작 장· 차관들은 대다수가 주소지를 세종으로 이전하지 않고 있습니다.

그 이유가 대충 짐작은 갑니다만 고위직으로서 솔선수범이 아쉽습니다.

이일주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6.4 지방선거 당일.

정홍원 국무총리는 부인 최옥자 여사와 함께 서울이 아닌 세종에서 투표했습니다.

주소지를 세종시로 옮겼기 때문입니다.

세종시의 조기정착을 위해 솔선수범한 것입니다.

이 때문인지 이전 부처 공무원 4명 가운데 3명이 주소지를 세종이나 인근 지역으로 옮겼습니다.

하지만 장·차관은 다릅니다.

세종시 이전 13개 부처 장·차관급 인사 30명 가운데 주소지를 이전한 사람은 환경부장관 등 6명에 불과합니다.

[주소 미이전 부처 관계자]
"(개인적인 사안이라서) 왜 주소지 이전 안 하시냐고 물어볼 수 없습니다만 아무래도 서울 일정이 많다보니..."

국회 등 잦은 서울 일정 때문에 수도권 자택이 아직도 주 거주지라는 것입니다.

국회와 청와대 일정을 국회 분원과 청와대 제2 집무실을 세종시에 설치해 소화하는 방안이 대안으로 제시되고는 있습니다.

하지만 이에 앞서 부처 자체의 각종 행사나 회의조차 서울에서 하는 빈도를 줄이기 위해 주소지를 이전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김수현: 세종자치시민연대]
"장차관들은 법적으로는 문제가 없더라도 주소지 이전을 통해 세종시 조기 정착과 정상 건설을 위해 솔선수범해야한다."

2030년까지 인구 50만 명을 목표로 하고 있는 세종시.

정작 핵심 인사인 세종청사의 장·차관들은 세종시민이 되길 꺼리고 있습니다.


채널A 뉴스 이일주입니다.
[채널A 뉴스] 구독하기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시각 주요뉴스

댓글
댓글 0개

  • 첫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