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국가 기관 대선 개입 논란의 한 축인
군 사이버 사령부 댓글에 대한
국방부의 수사 결과가 발표됐습니다.
만 5천건이 넘는 정치 관련 댓글이 발견됐고
관련자 11명을 형사 입건한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대선에는 개입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는 데,
야권은 즉각 반발했습니다.
김 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530 심리전단이 남긴 댓글 중
정치적 중립을 어긴 글은
지금까지 발견된 것만 1만 5천여 건이었습니다.
국방부 조사본부는
NLL, 천안함 폭침 등 민감했던 정치 이슈에 대해
부적절한 정치적 댓글을 달았다고
결론 내렸습니다.
이중 2천여 건은 특정 정당이나
정치인을 비판하거나 옹호한 글이었습니다.
NLL논쟁과 관련해 요원 중 일부는
'문재인 후보는 군 통수권자로서 자격이 없다'는
댓글을 남겼습니다.
[싱크:백낙종 / 국방부 조사본부장(육군 소장)]
“사이버심리전단장은 ..직무범위를 이탈하여 대응작전 간 정치적 표현도 주지 말라는 등 과도한 지시를 하였습니다. "
특히 사이버심리전단 이모 단장이
수사가 시작된 후엔
관련 자료를 삭제토록 한 사실도 확인했습니다.
이에 따라 국방부는 이 단장을 직위해제하고
불구속 기소 의견으로 군 검찰에 넘겼습니다.
심리전단 요원 열 명도 불구속 기소로 형사 입건하고
삭제된 게시물은 다시 복원하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국방부는 "심리전 단장의 개인적 일탈행위였다"며 대선 개입 의도는 없었다고 강조했습니다.
야권은 즉각 반발했습니다.
[김재윤 의원/ 민주당]
탁하고 치니 억하고 죽었다. 개인적인 일탈일뿐이다.
관련자 모두가 개인적 일탈일 뿐이라는 황당하고 뻔뻔스러운 수사결과를 내놓았습니다.
민주당은 특별검사 도입을 주장했습니다.
채널A 뉴스 김진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