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에서 계파 갈등이 연일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번엔 문재인 정부의 상징적인 정책이죠, '주 52시간'을 두고 친명과 친문이 충돌했습니다.
정연주 기자입니다.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고소득 반도체 연구진에 한해 주 52시간 적용 예외 가능성을 언급하자 친문은 반발했습니다.
김동연 경기지사는 "시대를 잘못 읽고 있는 것이 아니냐"며 "노동시간을 늘리는 것이 반도체 경쟁력 확보의 본질이냐"고 지적했습니다.
[최재성 / 전 청와대 정무수석(어제, YTN 라디오 '뉴스파이팅, 김영수입니다')]
"근본을 잃지 않는 이런 방식들이 있는데 너무 그런 점에서는 아쉬워요. 추경도 그렇고 52시간 관련된 부분도 그렇고요."
주52시간은 문재인 정부의 대표 정책입니다.
[문재인 / 당시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2017년 4월)]
"노동시간 단축을 위한 특별 조치를 시행하겠습니다. 주 52시간 법정 노동시간을 철저히 지키도록 하고…"
문재인 청와대 출신 진성준 정책위의장은 "근로기준법에 이미 주52시간 예외 규정이 있다"며 "별도 예외를 인정할 필요는 없다"는 입장입니다.
친명계 지도부는 이 대표를 거들었습니다.
[이언주 /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몰아서 일하고 몰아서 쉬는 것을 지나치게 제약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이 대표를 향한 비명계 대선 주자들의 압박도 거세지고 있습니다.
김부겸 전 총리는 이 대표의 위헌법률심판 제청 신청을 우회적으로 비판했습니다.
[김부겸 / 전 국무총리(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오히려 정치 지도자 아닙니까? 결국은 법률 또 무슨 여러 가지 법원의 판단, 국민을 믿고 가는 것이 그게 제일 정도겠죠."
김경수 전 경남지사도 "대선 전 원포인트 계엄 방지 개헌을 하자"고 재차 주장했습니다.
채널A 뉴스 정연주입니다.
영상취재 이 철
영상편집 조성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