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샐러맨더 호텔에서 열린 '트랜스 퍼시픽 다이얼로그(TPD) 2025'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는 최태원 SK그룹 회장. (사진출처 : 뉴스1)
최 회장은 21일(현지시간) 워싱턴 DC의 한 호텔에서 최종현학술원 주최 '2025 트랜스퍼시픽 다이얼로그'(TPD) 행사에서 대미 투자 계획을 묻는 취재진 질문에 "비즈니스라는 게 필요한 투자를 하는 것은 당연하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이어 "어느 기업도 '트럼프 시기에 얼마를 하겠다'고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사업에 유리한지를 우선적으로 고려한다"며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 내 생산 시설 확대를 원하지만, 우리로서는 인센티브가 함께 제공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미국이 계속 세금도 내리겠다고 얘기를 하는데 아직은 (구체적으로) 뭐가 나온 게 없지 않나"라며 "그러니까 좀 더 지켜봐야겠다"고 했습니다.
미국 측의 인센티브가 세금 감면 등 정책적 지원을 의미하느냐는 질문에는 "반드시 금전적인 부분만이 아닌, 여러 형태의 인센티브가 존재할 수 있다"며 "한국과 미국이 협력해 상호 이익을 창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답했습니다.
이어 "구매자는 더 낮은 가격을 원하고, 판매자는 자신의 제품을 더 많이 팔고 싶어하는 관계만으로는 한계를 맞이할 수 있다"며 "단순한 상품 수출을 넘어, 협력을 통해 시너지를 창출하는 대규모 프로젝트를 추진해야 대한민국도 글로벌 트렌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미국의 높은 인건비 등으로 인해 투자 매력도가 낮아질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산업 분야마다 상황이 다르다"면서도 "미국이 불리한 점도 있지만, 유리한 점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솔직히 인공지능(AI) 분야 등은 다른 데 투자하는 것보다 미국에 투자하는 게 지금 훨씬 좋을 수 있다"며 "상대적으로 우리도 유리하고 좋은 곳에 투자하지 않겠나"고 덧붙였습니다.
방미 성과에 대해서는 "미국 측이 흥미로워할 논의를 진행하는 것이 목표였고, 그 측면에서 성과가 있었다"며 "서로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방안을 준비해왔고, 미국 측이 6개 분야에 대해 상당히 좋아한다는 느낌을 받았다"고 평가했습니다.
대한상의가 준비한 6개 분야는 조선, 에너지, 원자력, AI·반도체, 모빌리티, 소재·부품·장비 등입니다.
트럼프 행정부가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및 반도체법의 보조금 지급을 폐지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는 것과 관련해선 "(미국) 정계 인사 중 한 분이 '계속 집행이 잘 될 것이다'라고 얘기했다"고 말했습니다.
또 "새 행정부가 보조금 정책을 재검토할 것으로 보이며, 그 결과를 확인해야 한다"며 "아직 인선을 진행 중이고, 4월쯤 관련 발표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기다려 보자"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최 회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사실상 전 세계를 상대로 예고한 상호 관세 부과에 대해선 "제가 협상할 것도 아닌 거 같아서, 한국 정부가 와서 얘기하게 될 거라고 (미국 측에) 전했다"며 "(우리 정부가) 협상은 잘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