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최근 응급실 진료가 마비되고 있다는 지적에 "일부 기능 축소"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정통령 보건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은 오늘(20일) 응급실 진료 관련 브리핑에서 "최근 의료계 집단행동 영향으로 응급의료기관 408곳 중 부분적으로 진료 제한이 있었던 기관은 5곳으로 1.2%"라고 말했습니다.
정 정책관은 "(의료 공백이) 장기화되면서 응급실 의료진의 피로감이 누적되고 어려운 상황"이라면서도 "운영이 제한됐던 응급실도 신속히 정상 진료를 개시했거나 향후 정상화할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복지부에 따르면 한때 응급실 운영을 제한했던 충북대병원과 속초의료원은 정상 운영 중이며, 순천향대천안병원과 단국대병원은 다음 달 정상화될 예정입니다.
또 전국 29개 응급의료권역마다 최소 1곳 이상의 권역 또는 지역 응급의료센터가 제한 없이 운영되고 있어 지역 내에서 응급 환자 진료가 가능하다고 밝혔습니다.
정 정책관은 응급실 병상 축소와 관련해 "전체 48개 응급의료기관의 병상 수는 6000개가 조금 넘는데, 실제로 병상을 축소한 건 160~170개 사이로, 전체의 3% 정도"라고 말했습니다.
응급의학과 전문의 수는 지난해 1418명에서 최근 1502명으로 증가했지만, 전공의 500여 명이 이탈하면서 응급실이 이전과 동일한 형태로 진료할 수는 없다는 입장입니다.
정 정책관은 "최근 응급실 방문 환자의 44%는 경증·비응급(KTAS 4~5급) 환자"라며 "이 환자들을 동네 병·의원으로 적절히 분산하면 중증 응급환자 진료 여력을 확보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에 복지부는 응급실 전문의 진찰료 100% 인상, 광역상황실 추가 등의 대책을 추진하는 한편, 17개 시·도별 이송지침을 마련했습니다.
또 최근 응급실을 찾은 코로나19 환자의 95% 이상은 중등증 이하로, 응급의료기관이 아닌 동네 병·의원에서 진료할 수 있도록 발열클리닉을 운영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