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31일) 열린 수련협의체 제2차 회의에서 김국일(오른쪽)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관과 한성존(왼쪽)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 등이 대화하는 모습.(사진 출처=뉴시스)
유력한 안 중 하나는 이른바 ‘후선발’입니다. 복지부 관계자는 “이번에도 복귀하지 않은 사직 상태의 전공의들을 먼저 입영 대상으로 선발하고 이번에 복귀한 전공의들을 후 선발하는 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습니다. 복귀한 전공의의 입영을 최대한 늦춰주는 방안을 고민하는 겁니다.
이와 함께 복귀 전공의의 의무사관 후보생 신분을 회복해주는 안도 검토 중입니다. 복지부 관계자는 채널A에 “이번에 복귀하는 전공의들을 의무사관 후보생 신분으로 회복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습니다. 통상 군 미필 전공의는 의무사관후보생으로 등록돼 입영을 연기하고 수련을 마친 뒤 공중보건의사(공보의)나 군의관으로 입영하게 되는데, 수련 중 사직할 경우 입영 대기 상태가 됩니다.
수련 도중 사직한 뒤 병원에 복귀하더라도 입영 대기 상태로 남는데, 정부가 사실상 복귀 전공의들이 의대 증원 등에 반발해 집단 사직했던 이전 상태로 군 입영문제를 원복 시켜주는 안을 검토하는 겁니다.
복지부 등 관계자에 따르면 대한전공의협의회는 어제(31일) 열린 수련협의체 제2차 회의에서 전공의 복귀 방안 등에 대해 논의하며 ‘입영문제’를 거론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복수관계자에 따르면 어제 대전협은 “복귀 전공의들이 수련 중 입대하게 되더라도 기존 수련병원에서 수련을 이어갈 수 있게 해 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전해집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