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월 SK 텔레콤 해킹 사태 당시, 서울 시내 한 SK텔레콤 직영점에 유심 관련 안내문이 붙어있다.(사진출처=뉴시스)
통계청이 오늘(2일) 발표한 '8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보면, 소비자물가지수는 116.45(2020년=100)로 1년 전보다 1.7% 올라 지난해 11월(1.5%) 이후 최소 상승을 보였습니다.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올해 1월부터 2%대에 머물다가 지난 5월 1.9%로 하락했으나, 6∼7월엔 다시 2%대로 올랐습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 하락은 휴대전화료가 1년 전보다 21%나 하락한 영향이 큽니다.
코로나19 당시 전국민 통신비 2만 원 지원이 있던 2020년 10월(-21.6%) 이후 가장 큰 하락입니다.
SK텔레콤은 해킹 사태로 대규모 가입자 이탈이 벌어지자 8월 한 달간 전체 가입자의 통신 요금을 50% 감면했고, 이에 따라 휴대전화료를 포함한 공공서비스 요금은 1년 전보다 3.6% 하락하며 전체 물가를 0.42%p 떨어뜨렸습니다.
통신요금이 기존 추세였다면, 8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3%였을 것으로 통계청은 분석했습니다.
불볕더위 등의 영향으로 농축수산물 물가는 13개월 만에 최대 폭의 상승을 보였습니다.
농축수산물이 1년 전보다 4.8% 뛰어 지난해 7월(5.5%) 이후 13개월 만에 최대 상승을 기록했습니다.
수산물(7.5%), 축산물(7.1%), 농산물(2.7%) 순으로 상승률이 높았는데, 수산물은 2023년 2월(8.2%) 이후 2년6개월 만에 최대 상승이었고, 축산물도 2022년 6월(9.5%) 이후 최고 상승률이었습니다.
품목별로는 찹쌀(45.6%), 복숭아(28.5%), 고등어(13.6%), 쌀(11.0%), 돼지고기(9.4%), 국산쇠고기(6.6%) 순이었습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1.3% 상승해 전월(2%)에 비해 크게 떨어졌습니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 상승률은 1.5%로, 역시 전달(2.5%)보다 크게 낮아졌습니다.
정부는 이상기후나 지정학적 요인 등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상황으로, 총력을 다해 체감물가 안정을 위해 노력하겠다는 입장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