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차장이 9일 오후 세종시 도움로 정부세종청사 중앙동 브리핑실에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행정정보시스템 화재 관련 중대본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행정안전부 제공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국정자원 통합운영관리시스템(엔탑스)의 복구 작업을 통해 전체 시스템 목록이 709개로 확인되었습니다. 등급별로는 1등급 40개, 2등급 68개, 3등급 261개, 4등급 340개입니다. 정부 시스템은 업무 영향, 사용자 수, 파급력 등을 기준으로 등급을 나눕니다.
9일 낮 기준으로 전체 709개 시스템 중 193개가 복구되었고, 1등급 핵심 시스템 40개 중 25개가 정상화되었습니다.
김민재 중대본 제1차장은 오늘(9일) 브리핑에서 “엔탑스 데이터가 복구돼 전체 시스템 목록을 확인했고, 부처 확인을 거쳐 최종 확정했다”며 “앞으로는 목록 변경이 없도록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시스템 목록이 늘어난 이유는 우체국 금융, 공직자 통합메일 등 일부 시스템이 기능별로 나뉘었고, 온나라문서 시스템은 기관별로 있던 것을 통합하면서 전체 목록이 기존 647개에서 709개로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김 차장은 “이번 복구를 통해 정확한 현황 관리가 가능해져 앞으로 복구 관리가 더 정밀해질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중대본은 화재와 분진 피해를 입은 전산실과 장비 복구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달 말 도입 예정이던 장비를 연휴 중 앞당겨 설치했으며, 현재까지 서버 90대, 네트워크 장비 64대 등 총 198대의 신규 장비가 도입되었습니다. 장비 설치가 완료되는 15일부터는 복구되는 시스템 수가 빠르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5층 전산실 시스템은 대구센터로 옮기거나 대전센터 내 다른 전산실로 이전해 복구하기로 했습니다. 김 차장은 “대전센터에서 장비를 신속히 확보해 복구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기술적 판단을 반영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대전센터는 5·6전산실에 신규 장비를 설치해 시스템을 복구하고, 대구센터로 이전하는 시스템은 민간 클라우드 업체와 부처 협의가 끝나는 대로 옮길 계획입니다.
김 차장은 브리핑에서 최근 복구 업무 중 숨진 행안부 직원에 애도를 표했으며, 사망사고 이후 전문 심리상담사를 세종청사와 대전센터에 배치해 직원들의 심리 상담을 지원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