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Q. 성혜란 기자와 여랑야랑 시작합니다. 첫 번째 주제 보겠습니다.박지원 의원, 김어준 씨가 등장했네요. 무슨 역풍입니까?
A. 강선우 전 후보자 사퇴 역풍입니다.
민심을 받들어 사퇴를 한 건데, 오히려 사퇴를 촉구한 게 문제였다. 여권에서 역풍이 불고 있습니다.
"사퇴시킬 만큼의 일인가"라는 겁니다.
[김어준 / 방송인 (오늘, 유튜브 '김어준의 겸손은힘들다 뉴스공장')]
엄청난 갑질이 있었다고 생각하는 기자도 실제론 없어요. 강선우가 아니라 이재명을 이겨 먹으려고 하는 거거든요. 강선우는 그 소재로 선택됐을 뿐인 겁니다. 대응을 매우 잘못했다고 저는 봅니다, 당이. 이러면 지지자들이 같이 상처를 입거든요.
Q. 강 전 후보자가 언론의 희생양이 됐다, 이런 취지군요.
A. 당 내부에서도 "임명을 결정했으면 그대로 가야 한다"는 말이 나왔습니다.
[박지원 / 더불어민주당 의원 (오늘,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지도자는 잔인한 결정을 겸손할 정도로 빨리 전광석화처럼 해주는 것이 좋은데 이번에는 만시지탄이에요. '강선우 후보자는 임명한다' 이렇게 결정했으면 그대로 가야 하는 거예요. 흔들리면 더 나빠져요.
박 의원은 어제 자진 사퇴 발표 이후 "힘내라, 우리가 있지 않냐"며 강 의원을 응원하기도 했습니다.
Q. 글쎄요. 민심과는 다른 반응들이네요.
A. 정청래 의원은 "동지란 비가 오면 함께 맞아주는 것"이라며 "강선우를 인간적으로 위로한다"는 글을 남겼습니다.
전당대회 경쟁자인 박찬대 의원이 "동지로서 아프지만 누군가는 말해야 한다"고 한 걸 겨냥했다는 해석들이 나오는데요.
동료인 강선우 의원만 감싸고, 약자인 보좌진들 아픔은 생각지 않는다는 민심의 질타와는 여전히 거리가 멀어보이죠.
구성: 성혜란 기자, 김지숙 작가
연출·편집: 정새나 PD, 박소윤 PD, 이지은 AD
그래픽: 이승희 디자이너
Q. 성혜란 기자와 여랑야랑 시작합니다. 첫 번째 주제 보겠습니다.박지원 의원, 김어준 씨가 등장했네요. 무슨 역풍입니까?
A. 강선우 전 후보자 사퇴 역풍입니다.
민심을 받들어 사퇴를 한 건데, 오히려 사퇴를 촉구한 게 문제였다. 여권에서 역풍이 불고 있습니다.
"사퇴시킬 만큼의 일인가"라는 겁니다.
[김어준 / 방송인 (오늘, 유튜브 '김어준의 겸손은힘들다 뉴스공장')]
엄청난 갑질이 있었다고 생각하는 기자도 실제론 없어요. 강선우가 아니라 이재명을 이겨 먹으려고 하는 거거든요. 강선우는 그 소재로 선택됐을 뿐인 겁니다. 대응을 매우 잘못했다고 저는 봅니다, 당이. 이러면 지지자들이 같이 상처를 입거든요.
Q. 강 전 후보자가 언론의 희생양이 됐다, 이런 취지군요.
A. 당 내부에서도 "임명을 결정했으면 그대로 가야 한다"는 말이 나왔습니다.
[박지원 / 더불어민주당 의원 (오늘,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지도자는 잔인한 결정을 겸손할 정도로 빨리 전광석화처럼 해주는 것이 좋은데 이번에는 만시지탄이에요. '강선우 후보자는 임명한다' 이렇게 결정했으면 그대로 가야 하는 거예요. 흔들리면 더 나빠져요.
박 의원은 어제 자진 사퇴 발표 이후 "힘내라, 우리가 있지 않냐"며 강 의원을 응원하기도 했습니다.
Q. 글쎄요. 민심과는 다른 반응들이네요.
A. 정청래 의원은 "동지란 비가 오면 함께 맞아주는 것"이라며 "강선우를 인간적으로 위로한다"는 글을 남겼습니다.
전당대회 경쟁자인 박찬대 의원이 "동지로서 아프지만 누군가는 말해야 한다"고 한 걸 겨냥했다는 해석들이 나오는데요.
동료인 강선우 의원만 감싸고, 약자인 보좌진들 아픔은 생각지 않는다는 민심의 질타와는 여전히 거리가 멀어보이죠.
구성: 성혜란 기자, 김지숙 작가
연출·편집: 정새나 PD, 박소윤 PD, 이지은 AD
그래픽: 이승희 디자이너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