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日, 군함도 후속 조치 10년 째 사실상 ‘무시’…유네스코 보고서 공개

2025-02-01 09:41 국제

 일제 강점기 조선인이 강제징용 됐던 일본 나가사키현 하시마섬(일명 군함도)의 모습. 사진=뉴시스

일본이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인 일본 나가사키현의 군함도(軍艦島) 탄광 등 메이지 시대 산업혁명 유산과 관련해 우리 정부와의 약속을 여전히 지키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일본 정부는 2015년 군함도를 세계문화유산에 등재할 당시 조선인 강제동원 사실을 인정하고 희생자를 기리겠다고 약속 했지만 이에 대한 시설을 10년 가까이 짓지 않고 있는 겁니다. 한일 외교가에서는 올해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을 맞아 이런 문제들이 미래 지향적인 양국 관계 개선에 ‘장애물’이 될 수 있다며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31일(현지시각)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일본 정부가 지난해 12월 1일 제출한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관련 후속조치 보고서를 공개했습니다. 이 보고서는 지난해 9월 세계유산위원회가 유산 등재 후속조치에 대해 “관련국과 대화하고 약속 이행이 중요하다”는 내용의 결정문을 채택하면서 일본에 추가 조치에 대한 진전사항을 제출할 것을 요청한 데 따른 것입니다.

이번에 공개된 보고서에는 강제 동원 사실 명시 등 여전히 우리 정부가 요구해 온 후속 조치가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일본은 2015년 군함도 탄광 등 조선인 강제노역 시설 7곳을 포함해 메이지 시대 산업 유산 23곳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는 것에 한국이 반대하자 희생자들을 기리는 정보센터를 설치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습니다.

하지만 2020년 군함도 관련 역사관인 산업유산정보센터를 군함도 현장이나 소속 지자체인 나가사키현이 아닌 현장에서 1000km 떨어진 수도 도쿄에 만들었습니다. 전시물 내용도 논란의 대상이 됐습니다. 조선인 차별이나 인권 침해가 있었다는 사실을 부각하지 않고 오히려 강제노역을 부정하거나 조선인에 대한 차별이 없었다는 일방적 증언이 담긴 전시물을 설치한 바 있습니다. 세계유산위원회는 2021년 일본에 이례적으로 “강한 유감을 표명한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하지만 이에 대해서도 이번 보고서에서 강제 동원 사실이나 피해자 증언 등 시설 보충에 대한 내용은 빠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일본은 '의미 있는 대화'를 하자는 한국 측 요청에 대해선 "45차 세계유산위 이후 한국 정부와 대화를 지속해왔고 한국 정부와 해당 보고서의 해석 정책 설명을 포함한 대화를 지속할 의지가 있다"는 취지로 보고서에서 답했습니다.

외교부는 1일 이번 보고서 발표에 대해 대변인 명의의 논평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센터 홈페이지에 공개된 일본 근대산업시설 등재 후속 조치 보고서와 관련해 세계유산위원회의 거듭된 결정과 일본 스스로 약속한 후속 조치들이 충실히 이행되지 않고 있는 데 대해 다시 한 번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습니다.

외교부 당국자는 "일본에 성실한 대화에 임할 것을 촉구할 것이고 유네스코 차원에서도 일본의 약속 불이행을 계속 문제 제기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한일 외교 소식통은 “이런 조치들은 ‘강제’가 아닌 ‘권고’ 사항인데 사실상 일본이 ‘무시’하고 있는 것”이라며 “올해 한일국교정상화 60주년을 맞아 미래지향적인 관계 개선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는 태도로 보일 수 밖에 없다”고 밝혔습니다.

[채널A 뉴스] 구독하기

이시각 주요뉴스

댓글
댓글 0개

  • 첫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