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일본의 사례를 언급하면서 돈으로 관세율을 인하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24일(현지 시간)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미국 워싱턴DC 연방준비제도(Fed·연준)를 방문한 후 취재진 질문에 "우리는 일본의 상호관세율을 15%까지 낮춰줬다"며 "원래는 약 28%(실제로는 25% 통보)였는데, 그들이 돈을 내고 낮췄다(they bought it down)"고 말했습니다.
이어 다른 국가들도 돈을 내고 금리를 인하할 수 있냐는 질문에 "그렇다. 다른 국가들도 돈을 내고 인하하도록(buy it down) 허용할 것이다"고 답변했습니다.
미국과 일본은 지난 22일 무역합의에 이르렀습니다. 미국은 대일 상호관세와 자동차 관세를 15%로 낮췄고, 일본은 5500억달러(약 700조원)의 대미 투자와 농산물·자동차 시장 일부 개방 등을 약속했습니다.
한국과 유럽연합(EU) 등은 오는 8월 1일 상호관세 발효 전 미국과 합의하기 위해 노력 중인데, 일본처럼 대규모 대미투자 제안이 이뤄질 것으로 보입니다.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이 22일(현지 시간) 백악관에 도착한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주니어 필리핀 대통령을 맞이하고 있다. 사진=AP/뉴시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미국 워싱턴DC 연방준비제도(Fed·연준)를 방문한 후 취재진 질문에 "우리는 일본의 상호관세율을 15%까지 낮춰줬다"며 "원래는 약 28%(실제로는 25% 통보)였는데, 그들이 돈을 내고 낮췄다(they bought it down)"고 말했습니다.
이어 다른 국가들도 돈을 내고 금리를 인하할 수 있냐는 질문에 "그렇다. 다른 국가들도 돈을 내고 인하하도록(buy it down) 허용할 것이다"고 답변했습니다.
미국과 일본은 지난 22일 무역합의에 이르렀습니다. 미국은 대일 상호관세와 자동차 관세를 15%로 낮췄고, 일본은 5500억달러(약 700조원)의 대미 투자와 농산물·자동차 시장 일부 개방 등을 약속했습니다.
한국과 유럽연합(EU) 등은 오는 8월 1일 상호관세 발효 전 미국과 합의하기 위해 노력 중인데, 일본처럼 대규모 대미투자 제안이 이뤄질 것으로 보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