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에서 생산된 뒤 미국으로 들어오는 모든 제품에 대해 25% 관세를 부과한다고 공식 발표했습니다.
트럼프가 발표한 상호관세는 다른 나라의 관세와 비관세 무역 장벽을 종합해 미국이 겪는 손해와 차별을 해소하는 목적에서 부과됩니다. 오는 5일 시행하는 기본관세와 이른바 '최악 국가'에 대해 9일부터 시행하는 개별 관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트럼프는 현지시간 2일 오후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상호 관세 부과 방침을 발표한 뒤,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트럼프는 "미국 납세자들이 50년 이상 갈취를 당해왔지만 이제 더는 그러지 못할 것"이라며 "미국 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와 산업 파괴가 이뤄졌다"고 강조했습니다. 국가별로는 △중국 34% △유럽연합(EU) 20% △베트남 46% △대만 32% △일본 24% △인도 26%의 관세율이 결정됐습니다.

백악관은 이날 보도 참고자료에서 철강과 알루미늄, 자동차를 비롯해 구리·의약품·반도체·목재 등 기존에 다른 관세가 부과된 품목은 상호관세가 추가로 적용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백악관에 따르면, 이번 상호관세 부과 조치는 국제경제비상권한법(IEEPA)를 토대로 한 것입니다. 한미 상호 관세 부과를 핵심으로 담은 자유무역협정(FTA)가 사실상 백지화됐다는 해석이 나옵니다.
대미 수출 비중이 높은 우리나라는 일본, 유럽연합 등보다 높은 상호관세율을 적용 받아 미국 시장에서는 다소 불리한 여건에 놓이게 됐습니다. 무역협회에 따르면 한국의 지난해 대미 수출액은 전년도보다 10.4%가 증가한 1천 278억 달러로 미국 상대 무역 수지는 557억 달러,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