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이 대통령 “반복적 산재 사망기업은 공시해서 주가 폭락하게”

2025-07-29 15:33 정치

 이재명 대통령이 2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참석자들과 중대재해 반복 발생 근절 대책 관련 토론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이재명 대통령은 29일 "동일한 사업장에서 계속해서 산재 사망 사고가 벌어지고 있다"며 올해를 산재 사망 근절의 원년으로 만들겠다는 각오로 노력할 것을 전 부처에 주문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중대재해 근절대책 등을 주제로 국무위원들과 토론을 벌였습니다.

토론 과정은 생중계됐습니다.

이 대통령은 최근 사고가 발생한 포스코이앤씨를 거론하며 "살자고, 돈 벌자고 간 직장이 전쟁터가 된 거 아니냐"며 "어떻게 동일한 사업장에서 올해만 다섯 명이 일하다 죽을 수 있느냐"고 질타했습니다.

이어 "똑같은 장소에서 똑같은 사고가 발생한 것은 아주 심하게 얘기하면 법률적 용어로 미필적 고의에 의한 살인 아니냐"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후진적인 산재를 영구적으로 추방해야 한다"며 "올해가 산재 사망 근절의 원년이 될 수 있으면 좋겠다"고 말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현재 과태료 수준의 제재로는 재발을 막기 어렵다며 징벌적 손해배상, 면허 취소, 대출 제한 등 실질적인 경제적 불이익을 주는 방안을 마련하라고 지시했습니다.

중대재해처벌법과 관련해서도 "재계에서는 중대재해처벌법에 자꾸 문제를 제기하는데, 저 역시 이 법이 그렇게 실효적인가 하는 의문이 있긴 하다"며 "대부분 집유 정도로 끝나는 데다가, 실제 이익은 회장이 보는데 책임은 사장이 지고 있지 않나"라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형사처벌은 별로 의미가 없을 것 같다"며 "똑같은 사망사고가 상습적·반복적으로 발생한다면 징벌적 손해배상을 하는 것을 검토해 봐도 좋을 것"이라고 제안했습니다.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은 "사망사고 발생 시 실질 제재 가능한 방식을 고민하겠다"며 "형사처벌과 함께 징벌적 손해배상과 함께 공공 입찰에 참여를 제한하거나 영업정지 조치를 하는 방식을 병행하는 방안도 검토하겠다"고 답했습니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중대한 사고가 나면 ESG(환경·사회·투명 경영) 평가에서 불이익을 받도록 하는 방안과 대출을 제한하는 것까지 검토 중"이라고 보고했습니다.

이에 이 대통령은 "아주 재미있는 것 같다. 산재 사망사고가 상습적으로 발생하면 여러 차례 공시해서 주가가 폭락하게 (만들 수도 있다)"라고 언급했습니다.

이형일 기획재정부 1차관은 "김 장관이 제안한 입찰 참여 제한이 경제적으로 아픈 제재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며 "중대재해처벌 위반 사유도 입찰제한 사유로 추가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이 대통령은 "규정을 위반하면 인허가를 취소하거나 정지시키는 경우도 있지 않느냐"며 "중대사고가 반복적으로 발생하면 영업허가를 취소하는 게 맞지 않나 싶다"고 밝혔습니다.

[채널A 뉴스] 구독하기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시각 주요뉴스

댓글
댓글 0개

  • 첫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