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한덕수 국무총리가 지난 2월 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전체회의(청문회)에서 대화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최 전 부총리는 17일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33부(부장판사 이진관) 심리로 열린 한덕수 전 국무총리의 내란 중요임무 종사 등 혐의 공판기일에 증인으로 출석해 이같이 말했습니다.
최 전 부총리는 "처음에 비상계엄 이야기를 듣고 충격받고, 상상 못 할 상황이니 이건 안 되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제가 '안된다, 절대로 안 됩니다, 다시 생각해달라'는 취지의 이야기를 한 장면이 기억난다"고 했습니다.
'윤 전 대통령의 반응이 어땠느냐'는 특검팀의 질문에 "특별히 반응은 안 했던 것으로 생각이 든다"고 답했습니다.
'한 전 총리도 반대 의사를 표시한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당시 기억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 이야기를 한 후 집무실로 들어가자 최 전 부총리가 윤 전 대통령을 따라가는 상황을 제시했습니다.
최 전 부총리는 그 이유에 대해 "제가 좀 들어가서 (비상계엄 선포를) 더 만류해 보라는 분위기라는 느낌을 받았다"고 말했습니다.
한 전 총리가 시켜서 들어간 것인지를 특검팀이 묻자, 최 전 부총리는 "제가 들어가겠다고 해서 들어간 것은 맞고, 그때 (한 전) 총리가 들어가서 말씀해 보라고 했다"고 답했습니다.
최 전 부총리는 집무실에 들어가 윤 전 대통령에게 "어떤 이유로도 계엄은 절대 안 된다. 우리나라 대외신뢰도가 땅에 떨어지고 경제가 무너진다고 말씀드렸다"고 말했습니다.
윤 전 대통령이 "대통령으로서 결정한 거다. 준비가 다 되어있기 때문에 돌이킬 수 없다는 취지의 말씀을 하셨던 것 같다"고 답했다고 증언했습니다.
다만 최 전 부총리는 이날 자신의 기억에 확신을 가지지 못했습니다.
그는 "CC(폐쇄회로)TV를 확인하면서 제 기억하고 다른 부분이 많아서 좀 당황스러웠다"며 "그날 상황이 상당히 충격적이고 초현실적인 상황이다 보니 파편적 기억이 남아있고 제 기억이 온전치 못한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한 전 총리는 대통령의 자의적 권한 행사를 사전에 견제·통제할 수 있는 국무회의 부의장의 의무를 다하지 않고 불법 비상계엄 선포를 방조한 혐의로 재판을 받고 있습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