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 특검팀 검사와 수사관이 탄 승합차량이 7일 오전 윤 전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집행에 실패한 뒤 경기 의왕 서울구치소를 나서고 있다. (사진/뉴시스)
윤 전 대통령 측은 오늘(7일) 특검의 2차 체포영장 집행 중단 직후 낸 입장문을 통해 “특검이 물리력까지 행사해 윤 전 대통령을 강제로 인치한다면 이것은 특검의 목적이 조사가 아니라 망신주기임을 스스로 인정하는 것”이라고 비판했습니다.
또 “현재 진행 중인 특검들은 이미 정해진 결론에 따라 일방적인 수사를 진행하며, 윤 전 대통령 측의 어떠한 주장도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특검의 주장을 부인하면 거짓말로 변명하고 있다며 그렇기에 구속이 필요하다는 논리를 강변하고, 참고인들이 윤 전 대통령 측에 부합하는 진술을 하면 관련자들과 입을 맞추어 증거인멸의 우려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며 “이에 윤 전 대통령은 특검들의 수사에 대해 진술거부권을 행사하며 조사에 응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힌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특히 윤 전 대통령 측은 진술 거부권 행사의 정당성을 주장하며 “문재인 전 대통령 역시 검찰의 소환을 거부했고, 이에 검찰은 문 전 대통령에 대한 조사 없이 기소를 한 사례가 있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그러면서 “윤 전 대통령 한 사람을 망신주기 위해 헌법과 형사소송법의 원칙, 피의자의 인권에 관한 기준들이 모두 무너져서는 안된다”고 주장했습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