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라이 릴리 마운자로와 젭바운드 (사진=일라이 릴리 홈페이지)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일라이릴리는 현지시간 14일 성명서를 내고 다음달부터 일부 국가들의 의약품 가격을 조정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일라이릴리는 "미국 행정부의 선진국 간 의약품 연구 비용을 공정하게 분담하겠다는 목표를 지지한다"며 "미국 내 의약품 가격을 낮추기 위해서 유럽과 같은 다른 선진국 시장에서 정부와 의료 시스템이 지불하는 의약품 가격을 인상해야 한다"고 전했습니다.
파이낸셜타임스 등 외신에 밝힌 바에 의하면 일라이릴리의 비만치료제 '마운자로'(터제파타이드)는 영국에서 최대 170% 인상됩니다. 다만 릴리는 영국 국민건강보험(NHS) 환자들의 접근성은 유지한다고 밝혔습니다.
반면 미국에서는 환자 비용을 낮추기 위한 조치를 취했습니다. 소비자에게 직접 처방약을 판매하는 '릴리 다이렉트'를 확대해 젭바운드(마운자로 미국 제품명) 등 릴리 의약품 접근성을 높였습니다. 인슐린 가격은 70% 인하하고 환자 본인부담금을 월 35달러로 상한 설정한 겁니다.
일라이릴리의 이번 조치는 트럼프 행정부의 압박에 대한 글로벌 제약사의 첫 대응 사례입니다. 미국 내 약가 인하를 방어하기 위해 미국 외 국가들의 가격을 올려버리는 방식을 취한 것입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그간 미국의 높은 의약품 가격을 낮추겠다며 다양한 제도를 추진하고, 높은 관세 적용을 예고해 글로벌 제약산업 전반을 압박해 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글로벌 제약사 17곳에 내달 29일까지 미국 내 약값을 내리라고 통보하기도 했습니다. 이들 기업의 미국 내 약가가 다른 나라보다 2~3배 비싸다며, 다른 선진국에 부과하는 약품 가격의 최저 수준으로 내리라는 내용의 공개서한을 보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해외에서 들여오는 의약품에 대한 품목 관세를 최대 250%까지 매기겠다고 예고한 바 있습니다.
일라이릴리는 "선진국들이 약가를 공정하게 분담해야 한다는 데에 동의하지만, 높은 약가를 초래하는 미국의 근본적이고 구조적인 문제도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다른 선진국들에 비해 미국의 약가 체계가 복잡하고 불투명하며 교차 보조금, 정부 프로그램 남용, 환자의 보험 부담금 등이 존재한다고 지적한 겁니다.
일라이릴리는 미 행정부의 관세 압박과 관련해선 "의약품은 생명을 구하는 특성으로 오랫동안 관세 대상에서 제외돼 왔다"며 "광범위한 의약품 관세는 비용을 증가시키고 환자 접근을 제한하며, 미국 내 제조에 대규모 투자를 진행 중인 기업들의 경우 미국의 리더십을 약화시킬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대신 미국의 제조 및 공급망 회복력을 강화하는 전략적 인센티브를 우선시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