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영월군
영월 천연기념물 곤충연구센터는 오늘(10일) 비단벌레의 신비로운 우화과정이 담긴 영상을 공개했습니다.
비단벌레는 주로 따뜻한 남부지방에서 서식하지만, 개체 수가 점점 줄고 서식지마저 파괴되면서 멸종위기에 처해 있습니다.
비단벌레 유충이 나무 속을 2~4년 동안 파먹다 성충이 되면 나무 밖으로 뚫고 나오는 특성상 그동안 우화과정이 자세히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영월 천연기념물 곤충연구센터는 지난 2018년부터 국내산 비단벌의 원종을 확보하고 아직 밝혀지지 않은 비단벌레 생활사 전 과정을 연구 기록하는 과정에서 국내에선 처음으로 비단벌레 우화 모습을 영상에 담았습니다.
이번 연구를 통해 대부분의 곤충은 우화 시 가슴부분과 날개 색 착색이 동시에 진행되지만 비단벌레는 머리와 가슴이 먼저 착색된 후 날개 부분만 나중에 착색이 되는 매우 독특한 과정을 거치는 게 밝혀졌습니다.
비단벌레 딱지날개는 금속성의 영롱한 초록색과 붉은색을 띠기 때문에 그 껍질을 고대 신라시대에는 왕관이나 왕족의 장신구 등을 만드는데 사용했습니다.
영월군은 비단벌레 증식 복원 연구를 통해 자연유산 활용 방안을 모색해 나갈 계획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