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에서 열린 촛불집회에 참가한 시민들이 윤석열 대통령 퇴진을 촉구하고 있다.(출처:뉴시스)
피치는 현지시각 6일 '정치적 변동성에도 한국의 신용 펀더멘털(기초여건)은 건재하다'는 보고서를 내고 "정치적 위기가 장기화하거나 지속적인 정치적 분열로 정책 결정의 효율성, 경제적 성과 또는 재정이 약화될 경우 (신용)하방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피치는 "정치적 불확실성이 장기화하면 가계와 기업의 신뢰가 약화하고 공공 재정에 압박을 가할 수 있다"고도 짚었습니다.
그러면서도 "계엄령 선포로 제기된 문제들은 헌법적인 절차를 통해 해결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한국 제도상의 견제와 균형은 대체로 확고하게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습니다.
한국은행과 기획재정부 등 당국의 조치로 환율과 금융시장 압력도 낮춰 시장 리스크도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고 봤습니다.
기본적인 한국에 대한 전망은 '정치 불확실성이 한국의 혀재 국가신용등급 'AA-/안정적'을 뒷받침하는 경제·대외 신용도를 지속적이고 실질적으로 위협하진 않는다'는 방향으로 설정했습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