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422회 국회(임시회)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제8차 전체회의에서 국민의힘 의원들이 김현태 증인 채택이 불발되자 집단 퇴장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여당은 회유 의혹 확인이 필요하다며 김현태 전 특수전사령부 707특수임무단장을 증인으로 불러달라고 요구했지만, 야당은 정쟁용 의도라며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또 계엄 당시 계엄군 국회 투입에 대해 증언한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을 더불어민주당이 탄핵 공작을 위해 회유했다는 국민의힘 의원의 주장을 두고 공방이 벌어지기도 했습니다.
앞서 국회 국방위원장을 맡고 있는 성일종 국민의힘 의원은 전날 대정부질문에서 김현태 단장의 전언을 인용해 박범계·부승찬·김병주 민주당 의원이 곽 전 사령관을 회유한 정황을 확인했다고 주장한 바 있습니다.
국민의힘은 회유 정황을 확인하기 위해서라도 김 단장을 증인으로 채택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민주당은 사실이 아니라며 정쟁용 의도가 짙다고 맞섰습니다.
회유 당사자로 지목된 민주당 부승찬 의원은 "회유를 했다면 김 단장의 진술이 바뀌어야 하는데 계엄 직후 기자회견 발언과 청문회장 발언이 다른 게 없다"며 "사실이라면 (국회의원) 배지 땔 자신 있나. 이건 황당함을 넘는다. 팩트체크 좀 하라"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여야는 김 단장 증인 채택은 합의에 이르지 못했고, 여당 의원들은 이에 반발해 집단 퇴장했습니다.
여당 의원들이 퇴장한 후 야당은 '증인·참고인 출석 요구의 건'을 단독으로 의결하며 윤석열 대통령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 등 141명을 증인으로 채택했습니다.
한편 특위는 이날 활동 기한을 이달 말까지로 연장하는 것을 골자로 한 '위원회 운영일정 변경의 건'도 통과시켰습니다.
특위는 오는 21일과 25일 추가 청문회를 두 차례 실시한 뒤 28일에 결과보고서를 채택한다는 계획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