린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이 9일(현지시각) 오후 대미 추가 관세 조치에 대한 중국의 입장을 설명하고 있다 (중국 외교부)
9일(현지시각) 중국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는 “미국산 수입품에 기존 34%에서 50% 늘어난 84% 추가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습니다. 시행 시작은 10일(현지시각) 낮 12시 1분부터입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중국에 기본관세 20%에 상호관세 34%를 부과했는데 중국이 미국에 똑같이 34% 관세를 부과하자 9일(현지시각) 50%의 추가 관세 내용을 담은 행정 명령에 서명했습니다. 이에 중국도 또 다시 50% 대미 관세를 부과하는 등 미국이 한 만큼 되돌려주는 보복 전략을 취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중국 상무부는 '쉴드 AI' 등 미국 군수기업 6곳을 '신뢰할 수 없는 기업' 명단에 추가했습니다. 렌즈 제조업체 '아메리칸 포토닉스', 드론 업체 '에코다인' 등 미국 기업 12곳에 대해선 이중용도(민간 및 군사 용도로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상품) 물자 수출을 통제하기로 했습니다.
이번 조치에 대해 위원회 측은 미국에 대한 보복 조치임을 강조했습니다. 위원회는 "미국이 중국에 대한 관세를 인상한 조치는 착오"라며 "중국의 정당한 권익을 심각하게 침해하고 다자 무역 체계를 심각하게 훼손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이날 오후 중국 외교부도 정례 브리핑에서 "중국의 주권과 안전, 발전 이익은 침해될 수 없다"며 "계속해서 단호한 조치를 취해 우리의 정당한 이익을 보호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중국 상무부는 미국의 대중 관세 50% 인상 조치를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소하기도 했습니다.
미중 관세 전쟁이 '강대강' 양상으로 이어지는 가운데 뉴욕타임스는 “중국의 추가 50% 대미 관세 부과 결정은 무역 전쟁에서 물러설 의사가 없다는 명확한 신호”라고 분석했습니다.
베이징=이윤상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