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 암표판매를 통해 해외 관광객을 유치하여 벌어들인 수익을 과소 신고하고 경비를 부풀려 세금을 축소한 전문 암표업체 사례(자료제공=국세청)
국세청이 정조준한 곳은 여행사 등 법인 3곳을 포함한 17개 전문 암표업자들입니다.
티켓거래 플랫폼 판매의 절반 가까운 거래를 독식하는 상위 1%, 400여명 중에서도 가장 탈루 혐의가 짙은 업자들입니다.
한류콘텐츠 여행상품을 기획하는 여행사 A사는 중고거래형 암표업체 B사에 티켓당 10만원 상당의 수수료를 지급하고 K팝 콘서트 암표를 대량으로 사들인 뒤 한류 관광객에게 정가의 2.5배에 달하는 가격으로 재판매했습니다. 이런 식으로 6년간 최소 4만매의 암표를 되팔았는데 두 업체가 과소신고한 관련 매출만 100억 원에 달합니다.
또 다른 암표업자 C씨는 중고거래 커뮤니티와 SNS를 통해 명품 잡화를 판매하면서 공연·스포츠경기 암표까지 개인 SNS로 판매했습니다. 판매대행자료를 회피하려고 사업자 등록을 하지 않은 채 개인 계좌로 대금을 받았습니니다. 국세청 신고소득이 전혀 없는데도, 5년간 신용카드로 약 30억 원을 결제하며 호화생활을 누렸고, 5억 원 상당의 해외주식까지 사들였습니다.
30대 중반 남성인 공공기관 종사자와 사립학교 교사까지 암표 거래에 뛰어들어 각각 4억 원과 3억 원이 넘는 부당소득을 올리기도 했습니다.
국세청은 이들 17개 업자가 신고누락한 암표 물량이 적어도 220억 원대인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가장 전형적인 수법은 입장권에 웃돈을 얹어 되파는 중고거래형으로, 중고거래 플랫폼 성장에 편승해 급격히 불어나고 있다고 국세청은 설명했습니다.
판매 내역을 들키지 않도록 대금을 개인계좌로 수취하고 판매 게시글은 슬그머니 삭제하는 식입니다.
이런 식으로 수년간 4만 건 이상 입장권을 되팔아 정가의 최대 30배의 폭리를 취했습니다.
대리 티켓팅, 소위 '댈티'도 주요 수법입니다.
대리 티켓팅 업자는 전문 노하우를 갖춘 조직적 사업체로 활동하며 고수익을 올리는 동시에 '창업중소기업 세액감면' 혜택까지 받다가 국세청에 덜미가 잡혔습니다.
그밖에 불법책임을 분산하기 위해 매크로 프로그램을 티켓 희망자에게 직접 판매하거나, '온라인 새치기'가 가능한 직접 예약링크, 이른바 '직링'을 판매하는 수법도 적지 않았습니다.
국세청은 금융추적, 금융정보분석원(FIU) 정보 등 가용수단을 활용해 암표판매와 관련된 현금거래를 확인하고 탈루세금을 추징하는 한편 조세포탈 혐의가 확인되면 고발 조치할 방침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