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설명>서울시내 한 식당가 음식점에 임대 안내문이 게시돼 있다.(사진출처=뉴시스)
한국은행은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0.2%로 집계됐다고 오늘(24일) 발표했습니다. 한은의 지난 2월 공식 전망치 0.2%보다 0.4%포인트 낮으며, 2022년 4분기(-0.5%) 이후 최저치입니다.
분기 성장률은 지난해 1분기 '깜짝 성장'(1.3%) 이후 곧바로 2분기 -0.2%까지 떨어졌고, 3분기와 4분기 모두 0.1%에 그치는 등 뚜렷한 반등에 실패하다가 결국 다시 역성장에 빠졌습니다.
앞서 17일 이미 한은은 1분기 마이너스 성장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국내 정치 불확실성 장기화, 미국 관세정책 우려에 따른 3월 중 경제 심리 위축, 역대 최대 산불 피해, 일부 건설 현장의 공사 중단, 고성능 반도체(HBM) 수요 이연 등을 거론했습니다.
1분기 성장률을 부문별로 보면, 민간 소비가 오락문화·의료 등 서비스 소비 부진으로 직전 분기보다 0.1% 감소했고, 정부 소비도 건강보험 급여비 지출이 줄어 0.1% 후퇴했습니다.
경기 불확실성에 투자도 감소했습니다. 건설투자는 건물건설을 중심으로 3.2%나 줄었고, 설비투자도 반도체 제조용 장비 등 기계류 위주로 2.1% 축소됐습니다. 설비투자의 1분기 성장률은 2021년 3분기(-4.9%) 이후 3년 6개월만에 가장 낮았습니다.
내수와 순수출(수출-수입)로 나눠보면, 소비와 투자를 포함한 전체 내수는 0.6%p 성장률을 주저앉혔습니다.
이번 역성장으로 1분기 실질 국내총소득(GDI)도 작년 4분기보다 0.4% 감소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