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에 파병된 북한군 사상자 규모가 전체 파견 병력의 최대 50%에 이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미국의 싱크탱크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국제안보 프로그램 책임자인 세스 존스는 현지시각 어제(4일) 열린 온라인 대담에서 "정확히 알기는 어렵지만 북한군 사상자는 (전체 파병 인력의) 3분의 1에서 많을 경우 50%까지로 추정되고 전사자는 1천명 수준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북한 파병 규모를 만 천 명에서 1만 2천 명 수준으로 본다면 놀랄만한 사상자 규모"라고 덧붙였습니다.
존스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점령 지역인 쿠르스크를 되찾기 위해 많은 사상자가 나오는 '소모전'을 진행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푸틴 입장에서는 정치적 비용도 크지 않다"며 "재래식 병력 대부분이 시베리아나 중앙아시아, 교도소 출신이지 모스크바 등의 엘리트 (집안) 자녀가 아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습니다.
그는 "이것이 러시아가 북한군을 이용해 온 방식"이라며 "우크라이나군과 얘기를 해보면 전장에 배치된 북한군은 죽을 각오가 돼 있는 치열한 전투원이지만, 조직적이지는 않고 지휘부를 비롯해 러시아군과의 결집도 약한 편"이라고 평가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