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약처와 산림청이 봄철 산나물과 혼동해 독초를 섭취하지 않도록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식약처와 산림청 국립수목원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독초를 섭취한 뒤 복통 증상 등을 호소한 사례가 41건으로 나타났습니다. 그 가운데 33건이 봄철인 3월부터 6월 사이 발생해 80%를 차지했습니다.
봄철에는 꽃이 피기 전 잎 또는 뿌리만으로 산나물과 독초를 구별하는 것이 쉽지 않아 주의가 필요합니다. 특히 봄철 대표 독초로는 △미국자리공 △삿갓나물 △동의나물 △은방울꽃 △털머위 등이 있습니다.
미국자리공은 더덕과 혼동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더덕은 뿌리가 가로로 주름져 있지만, 독초인 미국자리공의 뿌리는 주름지지 않고 굵은 뿌리에서 자주색 줄기가 나오며 향기가 없는 게 특징입니다.

독초인 동의나물은 곰취와 헷갈릴 수 있습니다. 곰취는 향이 좋고 잎이 부드럽고 광택이 없으며 날카로운 톱니를 가졌습니다. 반면, 동의나물은 향이 없고 잎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습니다.

뿌리에 독이 있어 섭취 시 위험할 수 있는 독초 은방울꽃은 산마늘로 오인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독초 은방울꽃은 잎이 곧고 융기가 나는 반면 산마늘은 마늘(부추)향이 나며 줄기 하나에 2~3장의 잎이 달려 있습니다.
독초를 산나물로 착각해 섭취한 뒤 복통이나 구토 등의 증세가 나타나면 반드시 병원을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합니다. 이 때,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 남은 독초를 함께 가져가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