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용일 금융감독원 자본시장부문 부원장이 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브리핑실에서 열린 자본시장 현안 관련 브리핑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함영일 금감원 자본시장회계부문 부원장은 1일 서울 여의도 금감원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홈플러스 회생 절차가 개시되면서 소상공인 기업어음(CP), 전단채 투자자들의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이라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그는 "MBK와 홈플러스가 김병주 회장의 사재 출연을 앞두고 유동화증권의 상거래 채권 취급 입장문 등을 내놓았으나 구체성이 부족해 진정성과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이어 "금감원은 홈플러스 사태의 조기 해결을 통한 국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TF를 구성해 총력 대응 중"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함 부원장은 "신용평가 등급 하향 가능성 인지, 기업 회생 신청 경위 및 신청 등에 대해 해명과 다른 정황이 발견되는 등 유의미한 진전이 있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회계 심사와 관련해서도 회계처리 기준 위반 대응성이 발견돼 이번 주부터 감리로 전환해 보다 세밀하게 살펴보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홈플러스의 채무 지급과 관련해서는 "홈플러스가 상거래 채무를 순차적으로 지급 중이라고 밝히고 있으나, 변제 시기 및 순위 등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협력업체 및 입점 업체들의 불안감이 지속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 "지난달 21일에는 매입 채무, 유동화 증권을 상거래 채권으로 분류하고 즉시 전액 변제하는 것처럼 발표했으나 실제로는 회생 계획안에 반영하겠다는 취지였으며, 이는 시장과 투자자들을 혼란스럽게 만들었다"고 지적했습니다.
함 부원장은 "홈플러스는 일부 점포에 대한 임대료를 지급하지 않으면서 구체적인 해명 없이 모든 이해관계자들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찾겠다는 모호한 표현으로 일관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지금이라도 홈플러스는 스스로 약속한 전액 변제, 대주주, 사재 출연 등에 대해 책임 있는 모습을 보여야 하며, 변제의 규모 및 시기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이해관계자와 시장의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끝으로 함 부원장은 "홈플러스 협력업체 및 투자자 피해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홈플러스의 영업이 정상적으로 지속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홈플러스의 채무 지급 현황과 회생 절차, 진행 과정 등을 면밀히 점검해 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