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관세 영향권 기업 비중과 기업유형별 구성. (출처 : 대한상공회의소)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전국 제조업체 2107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우리 제조기업의 미국 관세 영향 조사'에 따르면, 국내 제조기업의 60.3%가 트럼프발 관세 정책의 직·간접 영향권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간접 영향권에 있다'고 응답한 기업이 46.3%로 가장 많았고, '직접 영향권에 있다'는 응답은 14.0%였습니다.
영향권에 속한 기업들 중에서는 '미국 수출기업에 부품·원자재 납품하는 기업'(24.3%)과 '미국에 완제품 수출하는 기업'(21.7%)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그 다음으로 '제3국(중국·멕시코·캐나다 제외) 수출 및 내수기업'(17.9%), '미국에 부품·원자재 수출기업'(14.2%), '중국에 부품·원자재 수출기업'(13.8%) 등의 순이었습니다.
미국에 직접 수출하는 기업뿐만 아니라 미국 관세 대상국 이외의 국가와 국내 시장에서 중국 등과 경쟁하는 기업, 중국에 부품과 원자재를 수출하는 기업들도 간접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겁니다.
업종으로는 배터리(84.6%)와 자동차·부품(81.3%)이 가장 많았고, 반도체(69.6%), 의료정밀(69.2%), 전기장비(67.2%), 기계장비(66.3%), 전자·통신(65.4%)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76.7%), ‘중견기업’(70.6%), ‘중소기업’(58.0%) 순으로 집계됐습니다.
기업들은 관세 부과 영향으로 '납품물량 감소'(47.2%)를 가장 많이 우려했습니다. 미국에 직접 수출하지 않아도 간접 영향권에 속한 기업이 많기 때문이라고 해석됩니다.
이어 고율 관세로 인한 수익성 악화(24.0%)가 꼽혔고, 미국 시장 내 가격 경쟁력 하락(11.4%), 부품·원자재 조달망 조정(10.1%), 납품단가 하락(6.2%)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미국 관세 정책에 대한 대응은 동향 모니터링(45.5%), 비용 절감(29%) 등 제한적 수준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현지생산이나 시장다각화 등 근본적인 대안책을 모색 중인 기업은 3.9%에 그쳤습니다. 대응계획이 없다는 응답은 20.8%를 차지했습니다.
특히 소·부·장 협력사 같은 중소기업의 대응계획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영향권에 있는 중소기업 4곳 중 1곳이 '대응계획이 없다'(24.2%)고 답했습니다. 생산비용 절감이나 관세회피 대응책을 마련 중인 기업의 비율도 대기업에 비해 현저히 낮았습니다.